사회 사회일반

李대통령 천안함 담화 '美·日·中' 각국 반응

美- "당연한 대응… 지지 확고하다"<br>日- "한미와 공조 전제속 역할 할것"<br>中- "분쟁·갈등 야기행위 반대" 신중

이명박 대통령의 담화에 대해 미국은 확고한 지지 입장을 밝혔다.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대북 대비태세를 확립해 대북 정책에 대한 재점검과 함께 북한의 추가공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국 당국과 긴밀히 협력할 것을 미군 사령관들에게 지시했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심야성명을 통해 "한국 방위에 대한 미국의 지지는 분명하다"며 강력한 지지를 표명하면서 이같이 전했다. 기브스 대변인은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잇단 도발과 국제법 위반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기관들에 북한과 관련된 기존 권한과 정책을 재검토할 것을 지시했다"면서 "이는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도록 하고 정책 수정이 필요한 분야를 가려내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미국은 천안함 사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려는 이 대통령의 계획을 지지하며 "북한이 지역 안정에 가하는 위협을 줄이기 위해 동맹국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루스 클링너 미국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천안함을 겨냥한 북한의 악질적인 공격에 단호하고도 적절하게 대응했다"며 "버락 오바마 행정부도 한국의 위기적 상황에 확실한 동맹관계인 한국에 대해 강력한 지지를 표명하는 등 적절한 대응을 했다"고 평가했다. 일본 정부도 천안함 침몰 사태와 관련한 한국의 대응조치에 강력한 지지 의사를 재천명했다. 24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총리 주재로 안전보장회의를 열어 이 대통령의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 내용을 검토하고 북한에 대한 제재 방안을 논의했다. 히라노 히로후미(平野博文) 관방장관은 "미국ㆍ한국과의 충분한 공조를 전제로 중국에도 한ㆍ미ㆍ일과 같은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 우리(일본)가 할 역할이 있다면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필요할 경우 일본도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중국에 제재에 동참하도록 요구하겠다는 의미다. 일본 정부는 국제 민군합동조사단이 천안함 침몰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지난 20일에도 하토야마 총리 주재로 긴급 관계각료회의를 열고 한국을 전면 지지하는 한편 향후 대응에서 한국ㆍ미국과 행동을 함께하기로 했다. 일본 내 한반도 전문가들은 "예상된 내용"이라고 입을 모았다. 일본 전문가들은 교류ㆍ교역 중단조치가 북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한ㆍ미ㆍ일이 공조해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경조치를 주문하는 이도 있었다. 시게무라 도시미쓰(重村智計) 와세다대 교수는 "한국 정부로서는 당연한 반응"이라며 "한국의 위신을 보여줄 때고 대화는 나중에 생각해도 된다"고 말했다. 이영화 간사이대 교수는 "한ㆍ미ㆍ일 3국이 군사훈련이나 위력정찰 등을 공조해야 한다"며 "이렇게 하면 북한의 전략물자가 떨어질 것이고 이는 유엔을 통한 경제 제재보다 더욱 즉각적인 효과를 거두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와 관련, 중국 정부는 다이빙궈 국무위원의 입을 통해 "분쟁과 갈등을 야기하는 어떠한 행위에도 반대한다"는 뜻을 밝히며 현재까지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정부의 신중한 자세와는 달리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이 대통령의 담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긴급 보도, 이번 사태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반영했다. 중국의 일부 학자들이 정부에 대해 이번 천안함 침몰사건을 계기로 감싸기 일변도였던 대북 정책을 수정해야 하다는 비판을 하고 있고 뉴스위크는 최신호 인터넷판에서 중국이 북한을 비호하는 데 따른 부담은 점점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진징이(金京一) 베이징대 한반도연구중심 부주임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대국의 자세"라고 강조했고 진찬룽(金燦榮)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은 "중국은 결의안이 유엔 안보리에 상정될 경우 군사적 수단에 대해서는 반대하겠지만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북한의 소행으로 드러난다면 제재에는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세계 주요 외신들도 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일제히 긴급 뉴스로 타전했다. 특히 외신들은 이번 천안함 사태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하는 것은 물론 향후 남북 간 교역ㆍ교류를 전면 중단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하며 미국 등 국제사회의 반응도 함께 전했다. CNN은 "이 대통령이 발언 수위를 '포괄적'으로 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직접 거명하지 않음으로써 북한 체재 전체에 대한 경고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BBC방송은 이번 발언으로 대북 기조가 큰 변화를 맞게 됐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