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감원 "은행, 외화대출 줄여라"

환율상승 리스크 우려따라 자제 요구… 은행권선 "자금윤용 제약"

금융감독당국이 은행에 외화대출을 자제할 것을 주문했다.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위험자산 가중을 막아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하락 등을 사전에 관리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은행들은 조달한 외화자금 운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달갑지 않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23일 금융감독당국과 은행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산업·국민·우리·신한·하나은행 등 6개 주요 은행의 자금 담당자들과 회의를 하고 건전성 관리를 위해 외화대출을 자제하라고 지시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은행의 외화자금 조달과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투자자금 등으로 외화 유입이 많은 반면 기업들의 무역금융 수요는 많지 않아 외화유동성이 풍부해졌다"며 "하지만 국제금융 시장이 안정세를 되찾았다고 보기 힘들어 환율변동에 따른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외화대출 운용을 자제할 것을 주문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각 은행들은 금감원의 지시 내용을 받아들여 외화유동성 등을 감안해 신규 외화대출에 대해서는 대출 건별로 한도를 배정하고 만기가 돌아온 자금 등에 대해서는 기업이나 개인 사업자의 수익성과 자금사정 등을 감안해 선별적으로 기한을 연장해주는 등 제한적인 대출운영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은행들은 이미 외화대출 감소세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감독당국이 외화대출 자제를 강조하는 것은 외화 자금운용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것이라며 난색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국민·우리·신한은행 등 6개 시중은행의 외화대출 잔액은 지난 7월 말 현재 195억7,700만달러를 기록, 올 들어 처음으로 200억달러를 밑돌았다. 이는 전월 대비 4.3%,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7% 각각 감소한 것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외화대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감독당국이 대출 자제를 주문하는 것은 외화자금 수익성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며 "3·4분기 이후 환율 변동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줄은 알지만 시중에 외화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에서 이 같은 주문은 운용에 제약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조달한 외화자금을 중장기 자금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시설자금 등으로 대출이 이뤄져야 한다"며 "외화대출 자제보다는 자금운용의 미스매칭을 줄이면서 외화자금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과 가이드라인을 감독당국이 다시금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