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그래도 파업은 안된다(사설)

기아사태에 또 다른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정부의 법정관리 결정에 반발,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 조업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기아의 불안은 자동차산업의 불안으로 이어진다. 자동차업계의 불안은 전 산업과 경제전반으로 파급, 경제살리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게 될 것이다. 기아자동차 노조의 파업에 기아계열사 노조와 전국 자동차 노조가 동조하고 민주노총까지 가세, 법정관리를 철회하지 않으면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도심에서 대규모 연대집회까지 계획하고 있다 한다. 기아파문이 노동계전체로 확산되고 노정대결 양상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기아 노조가 반발하는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 화의를 통해 회사를 살릴 수 있다고 하는데 정부가 나서 형평성을 깨면서 끝내 법정관리로 결정했으니 불만스럽고 의욕이 꺾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자칫 제3자에 넘어가 「기아」라는 이름조차 건지기 어렵고 안정된 일터도 잃을지 모르는 불안을 떨치기 어려울 것이다. 그래도 파업은 안된다. 경제가 어려운때 파업은 기아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정당한 해결 방법도 아니다. 기아사태의 장기화로 우리 경제는 혹심한 상처를 입었다. 이제 겨우 매듭을 푸는 단계에 접어 들었는데 여기에 파업이 확산되면 경제는 치명상을 입게된다. 파업은 결코 기아살리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노조는 기아자동차의 정상가동과 경영정상화에 먼저 힘을 쏟아야 할 때다. 그래야 국민들도 호응하고 지원한다. 기아노조의 파업은 자동차업계에 파급, 그렇지 않아도 힘겨운 수출과 내수부진을 더욱 촉진할 것이다. 이미 장기 불황으로 자동차 수출과 내수가 급격히 줄고있다. 여기에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수출이 한달에 2억달러이상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경제회생의 핵심 과제인 무역수지 흑자기조는 뒷걸음질 치게된다. 뿐만 아니라 전 노조가 들먹거리게 되면 경제살리기 분위기가 식어 경기회복은 더디어 질 수밖에 없다. 기아노조는 대국적인 눈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이같은 사태에 이르게 된 기아부실 책임의 일단이 노조에 없다고 부인할 수 없다. 기아사태의 해결은 이제 시작이다. 정부가 직접 발을 들여놓은 이상 책임지고 기아살리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 법정관리가 경영진 바꿔치기 수단이라고 한다면 잘못된 선택이다. 중요한 것은 기아자동차와 협력업체에 자금을 지원, 정상화시켜야 한다. 물론 기아살리기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 기아처리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일이 전제되어야 한다. 공기업화에 대한 우려, 제3자인수에 대한 불안이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