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친환경 '생분해성플라스틱' 대장균서 생산 新기술 개발

원자력硏 김인규박사팀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생물학연구실 김인규 박사

자연상태에서 쉽게 분해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생분해성플라스틱(PHB)을 미생물인 대장균으로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생물학연구실 김인규 박사팀은 20일 대장균에 양성자빔을 쏘여 PHB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돌연변이 대장균주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김 박사팀은 양성자 빔 조사(照射)를 통해 얻은 돌연변이 대장균에 포도당 공급 등 적절한 배양조건을 유지함으로써 균주 내에 PHB를 99.5%의 고농도로 축적시키고 축적된 PHB의 80% 이상을 자발적으로 균주 바깥으로 분비할 수 있도록 했다. 종전기술은 PHB 축적도가 70~80%에 그쳤고 축적된 PHB를 균주와 분리시키는 데 다량의 독성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2차 환경오염의 문제를 안고 있었다. 김 박사는 “기존 PHB 생산단가는 ㎏당 5.37달러였으나 이번 기술을 적용할 경우 2.5~3달러로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01년 현재 전세계 플라스틱 시장규모는 1억톤에 1회용 플라스틱용기도 100조원대에 이르고 있어 이번 기술이 상용화되면 부가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