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경기 재개발·재건축시장 용적률 상향에 '들썩'

추가분담금 가구당 5,000만원 가량 줄어들 듯<br>과천·광명·성남등 수혜 기대에 긴급회의등 부산

경기도가 착공 전 재정비사업장에 대해 용적률을 최고 27%포인트 높여주기로 하면서 앞으로 이 일대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과천주공7단지 전경

"조합원 총회를 열어 용적률을 올리는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광명시 철산주공 8ㆍ9단지 조합 관계자) 수도권 일대 재개발ㆍ재건축 조합들은 24일 하루 종일 벌집을 쑤신 듯 소란스러웠다. 예정에 없던 긴급회의를 소집하는가 하면 조합원들의 문의 전화가 끊임없이 걸려와 업무에 어려움을 겪은 곳이 많았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소강 상태를 보이던 이들 재정비사업장에 활기가 돌기 시작한 것은 경기도가 착공 전 재정비사업장에 대해 용적률을 최고 27%포인트 상향하는 내용의 '제1종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을 지난 23일 개정했기 때문이다. 용적률이 높아지면 일반분양 가구 수가 늘어 조합원들의 추가분담금이 낮아지고 사업성이 개선된다. 재개발ㆍ재건축 조합 입장에서는 사업 추진의 새로운 전기를 맞은 셈이다. ◇추가분담금 얼마나 낮아지나=이번 용적률 상향의 수혜를 입는 경기도 일대 사업장은 200여곳에 달한다. 송상열 경기도 도시계획상임기획단장은 "아직 착공에 들어가지 않은 재개발ㆍ재건축사업장은 모두 용적률 상향조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각 조합들은 전체 가구 수를 얼마나 늘릴 수 있을지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다. 가구 수 증감에 따라 추가분담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경기도가 이번 1종 지구단위계획 지침 개정에 앞서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르면 680가구로 신축할 수 있는 A단지의 경우 용적률을 높이면 전체 건립물량이 703가구로 23가구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가구당 4억원에 일반분양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92억원가량의 추가 수입이 생기는 셈이다.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이는 친환경 주택 설계에 따른 추가 용적률 인센티브 12%포인트와 소형주택 추가 확보에 따른 용적률 증가분 8%포인트는 제외한 시뮬레이션 결과"라며 "A단지의 경우 용적률을 상한까지 올리면 가구 수가 더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각 정비사업장별 사업 조건이 모두 달라 구체적인 수치를 내놓기는 어렵지만 대략 가구당 5,000만원 내외의 추가분담금 감소가 예상된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과천ㆍ광명ㆍ성남 등 관심 쏠릴 듯=부동산업계에서는 이번 용적률 상향에 수혜를 입는 200여개 재정비구역 중에서도 과천ㆍ광명ㆍ성남 등에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서울 접근성과 기존 주거환경 등을 감안했을 때 이들 지역이 최대 수혜지역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과천시에서는 원문ㆍ별양동 일대 주공아파트, 광명시에서는 철산동 일대 저층 주공아파트, 성남시에서는 수진ㆍ신흥동 일대 재개발 예정 구역이 각각 현지 부동산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과천의 경우 주공2ㆍ6단지의 사업속도가 빠른 편이고 광명은 철산주공 8ㆍ9단지가 최근 정비구역으로 지정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과천 주공6단지 추진위 관계자는 "인근에 보금자리지구가 지정돼 사업에 악재로 작용했으나 그나마 용적률 상향이 돼 다행"이라고 전했다. 광명 철산동 M공인 관계자는 "철산 주공8단지 전용 49㎡의 경우 이달 들어 3억4,000만원으로 집값이 2,000만원 정도 내렸다"며 "용적률 상향에 따른 가시적 결과가 나오면 집값도 다시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