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금융권 노사 相生의 해법

김정곤 기자 <금융부>

금융권이 29일부터 공동임금 및 단체협상을 개시한다. 이번 임단협은 예년보다 3개월가량 늦게 시작되는 만큼 촉박한 일정과 노사간 이슈 대립으로 시작 전부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금융산업 노조로부터 개별 교섭을 위임받은 조흥은행과 옛 한미은행 노조지부는 합병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총파업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때문에 공동 임단협과 개별 임단협이 맞물리며 노사간 협상이 파국으로 치닫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노조 측 대표인 금융산업 노조는 그동안 선거 후유증에 따른 조직의 내홍(內訌)을 겪어왔다. 내부분열로 협상의 대표자인 금노 위원장이 법원으로부터 직무정지를 당하고 결국은 부위원장 직무대행체제로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됐다. 협상에 나서기 전부터 노조의 선명성이라는 가장 큰 무기를 잃은 셈이다. 이와 관련, 노조 측에서도 직무대행체제가 사용자 측과 맞서 얼마나 협상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평가가 많다. 경우에 따라서는 협상은 임금협상 수준에서 조기에 마무리되고 나머지 쟁점은 개별 교섭으로 보충하게 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측 역시 사상 최대의 수익을 내고 있는 은행경영 환경 속에 노조 측이 내세운 요구를 무작정 외면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은행들이 수익을 내는 기반에는 구조조정과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희생이 뒷받침돼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극심한 경기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한국 경제가 성장 동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노사 관계의 선진화가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 미국ㆍ유럽연합(EU)ㆍ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은 고용안정 및 유지,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사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제도와 처우를 놓고서 지지부진한 논란만 거듭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아직도 갈 길이 먼 상황이다. 노사 모두 전향적인 자세로 노사 상생의 길을 찾는 것이 필요한 때다. 은행권 노사는 새로운 노사관행 정립이라는 대전제에서 임단협 협상을 시작하기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