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월드컵] 한국의 '남미 징크스' 깨지지 않았다

세계 최강의 벽은 높았다. 특히 지긋지긋한 '남미 징크스' 탈출에도 실패했다.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 '유쾌한 도전'에 나선 '허정무호'가 이번 대회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히는 세계 최강 아르헨티나와의 B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1-4로 대패했다. 본선 8회 진출에 빛나는 한국은 역대 월드컵 무대에서 유럽과 아프리카를 잇따라 꺾었지만 남미는 '거대한 산'이었다. 한국은 그 동안 남미 팀과 총 세 차례 맞붙었지만 1승을 챙기지 못했고, 아르헨티나에게 또 다시 무릎을 꿇으면서 대 남미 팀 무승 숫자를 '4'로 늘려야 했다. 86년 멕시코 대회 조별리그 1차전에서 디에고 마라도나가 이끄는 아르헨티나를 맞아 박창선이 한국의 월드컵 첫 골을 터트렸지만 빌다노(2골)와 루게리에 연속골을 내주며 1-3으로 패했다. 90년 이탈리아 월드컵 우루과이와의 조별리그 3차전에서도 후반 45분 폰세카에 통한의 결승골(0-1 패)을 내주며 무릎을 꿇었다. 특히 94년 미국 월드컵 무대는 남미를 뛰어 넘을 절호의 기회였다. 한국은 약체로 분류돼 '1승 제물'로 여겨졌던 볼리비아와의 조별리그 2차전에서 슈팅을 쉴새 없이 퍼붓는 등 일방적인 경기를 펼쳤지만 골 운이 따르지 않으면서 득점 없이 경기를 마쳤다. 역대 남미 국가와의 전적은 3승6무14패로, 유독 남미에 절대적인 열세를 보였다. '허정무호' 역시 남미 팀을 상대로 한 출발은 좋지 않았다. 2008년 1월 출범 직후 치른 칠레와 평가전에서 0-1로 패했다. 그러나 지난해 8월 파라과이와 평가전에서 박주영(AS모나코)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며 징크스 탈출에 시동을 걸었다. 특히 지난달 16일 에콰도르(2-0 승)를 잡으며 남미 팀이 더 이상 '넘지 못할 산'이 아닌 듯 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는 남미를 넘어 세계 축구의 절대 강자.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16년 만에 '남미 징크스'에서 벗어나려던 '허정무호'의 도전은 아쉽게 다음을 기약해야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