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화물연대 파업 동력 잃었다

정부 초강경 대응속 조합원 참여 저조로 상경투쟁 유보<br>소수 조합원 항만봉쇄등 극단행동 가능성도

화물연대의 총파업 동력이 급속히 쇠잔해지고 있다. 조합원의 참여율이 저조해 파업 영향이 거의 없는데다 정부가 지도부 조기구속이라는 초고강도 대응 카드를 뽑아 들자 당초 13일로 예정했던 상경투쟁을 당일 새벽 돌연 유보하는 등 흔들리는 모습이 역력하다. ◇파업동력 없어 상경투쟁 무산=화물연대는 파업 사흘째인 13일 새벽 긴급 보도자료를 내고 "13일 예정했던 서울 상경투쟁을 유보하고 지역별 거점 사수로 투쟁 방식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박상현 화물연대 법규부장은 투쟁방식을 변경한 이유를 "상경투쟁을 하는 것보다 전국 60군데 거점에서 물류 총파업의 파급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것이 사태를 더욱 빠르게 마무리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화물연대가 본래 예고했던 상경투쟁을 갑작스레 유보한 것은 파업동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당초 경찰의 원천봉쇄 경고에도 불구하고 서울 상경을 강행하겠다던 화물연대가 상경투쟁을 통한 세 규합이 여의치 않자 지역별 거점 사수 방식으로 선회했다는 것이다. ◇조합원 파업 참여율 30% 안팎=화물연대는 파업 닷새째를 맞고 있지만 조합원들의 참여율이 극히 낮은 상황이다. 현재까지 전체 조합원 1만5,000여명 가운데 파업에 적극 동참하는 조합원은 4,000여명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파업과 달리 비조합원들의 참여도 저조한 상황이어서 화물연대의 이번 파업은 좀처럼 힘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다. 지난해의 경우 고유가로 인한 생활고를 견디지 못하고 많은 비조합원들이 화물연대의 파업에 동참했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경기침체로 물동량이 크게 감소해 일감이 줄어든데다 당장 일손을 놓으면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자신들의 실체를 인정해달라는 화물연대의 요구는 현실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 초강경 대응 나서=경찰은 13일 새벽 김달식 화물연대 본부장 등 지도부 5명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 받아 체포에 나섰고 같은 날 파업에 동참하지 않은 화물차량을 파손한 혐의로 화물연대 포항지부 조합원 이모씨를 구속했다. 관련 당국인 국토해양부는 이번 파업에 대해 엄정 대처한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번 파업과 관련해 "집단 교통방해시 도로교통법에 따라 운전면허가 취소될 수 있고 이 경우 화물운송 종사자격 취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소수 조합원 도로점거 등 극단행동 가능성도=화물연대가 지역 거점을 사수하며 게릴라식 투쟁으로 파업을 장기전으로 끌고 갈 가능성도 있다. 화물연대가 이미 밝힌 대로 도로점거와 항만봉쇄 등을 산발적으로 진행할 경우 파업의 향방을 쉽게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박상현 법규부장은 "현재까지 항만봉쇄나 고속도로 점거 같은 고강도 투쟁을 벌일 계획은 없지만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고강도 투쟁을 벌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