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스키&보드북 용품 고르는 법

스키복-꼭 입어보고 불편함이 없어야 <BR> 장갑-스키복과 비슷한 색상이 무난<BR>고글-자외선 차단 검증된 브랜드를

◇스키복= 스키와 보드복은 반드시 입어본 뒤 스키를 타는 자세를 취해서 불편함이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재킷은 목, 허리부분이 꽉 죄거나 헐겁지 않은지를 체크하고 넘어졌을 때 눈이 옷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소매 부분에 테이프나 끈으로 조여주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고른다. 똑딱 단추보다는 지퍼가 좋은데 넘어졌을 때 부상을 방지해주고 보온성이 더 좋다. 또 리프트권을 매달 수 있는 고리, 작은 소지품을 넣을 수 있는 지퍼 주머니가 2~3개 정도 있는지 점검하도록 한다. 주머니는 밸크로(찍찍이) 테이프로 떼었다 붙였다 하는 것이 스키장갑을 낀 채로도 열고 닫기가 편리하다. 패딩제품을 선택한다면 습기에 약한 것이 단점이기 때문에 겉감이 방수처리가 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바느질 사이로 눈이 스며들 수 있으므로 커팅선이 많지 않은 것이 좋다. 바지는 무릎 부분에 절개선을 넣어 입체 재단한 것이 착용감도 좋고 움직이기 편하다. 바지 끝단이 플레이트에 찢길 수가 있으므로 플라스틱 보호대가 있는 것을 선택한다. 길이는 부츠의 굽을 생각해서 구입할 때 약간의 굽이 있는 신발을 신고 입어보도록 한다. 색상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용품 색상과 옷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잘 맞아야 좋은데 같은 계열의 색상을 선택하거나 아니면 보색을 택하는 게 좋다. ◇장갑=의류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장갑인데 스키냐 보드냐에 따라 구분하여 착용하는 것이 좋다. 스키장갑은 폴을 쥐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바닥에 아무런 장치 없이 얇고 부드러운 것을 고른다. 스노보드용 장갑은 벙어리 장갑이 좋으며 턴이나 점프 동작 등에서 눈 위에 직접 닿으므로 바닥 면이 견고해야 한다. 색상은 스키복과 비슷한 계열을 고르는 것이 무난하고 스키복 재킷과 바지의 색상이 다른 경우 바지와 같은 색상을 골라도 멋스럽다. ◇고글=설원의 자외선은 해변가보다 네 배 가량 강한데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는 검증된 브랜드의 고글을 착용하는 게 좋다. 스키 고글을 고를 때는 습기방지 여부를 확인해야 미연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스키나 보드를 타다 보면 고글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렌즈나 고글의 다리, 끈을 교환할 수 있는지를 구입시 체크해야 한다. ◇스키백=원래 스키백은 스키와 보드를 즐겨 타는 북미와 유럽의 경우 스키장내에 편의시설이 많이 없기 때문에 간단한 음식물이나 신발을 넣어두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스키장 내에 편의시설과 락커 등이 잘 마련되어 있는 편이어서 기타 짐을 넣을 수 있는 가방이나 핸드폰이나 썬크림, 장갑 등의 개인 소지품을 넣을 만한 작은 허리 색 정도면 좋다. 허리에 매는 색은 스키나 보드를 탈 때에도 맨 채로 탈 수 있어 편리하지만 초보자들에게는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한다. 눈에 젖으면 얼게 될 위험이 있으니 방수가 잘 되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지퍼가 튼튼하고 끝까지 잘 잠기는 것을 골라야 눈이 가방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기타 액세서리=기본적인 아이템들에 추가적으로 액세서리를 코디한다면 기능적일 뿐 아니라 개성을 높일 수 있다. 스키 마스크는 얼굴을 추위로부터 보호해주고 내려쓰면 목에 찬바람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귀마개는 모자를 내려쓰거나 목도리를 둘러도 추위가 느껴지는 귀 부분을 따뜻하게 해주며 패션 소품으로도 그만이다. (도움말: 휠라 디자인실장 구소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