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새내기 행원들 초임삭감 반란

평균 20% 깎이자 단체행동<br>금융노조 내달6일 집회개최


새내기 은행원들의 반란(?)인가. 시중은행의 신입행원들이 지난 2009년부터 깎여온 임금을 원상 회복시키겠다며 단체행동에 나선다. 시중은행들은 2009년 정부의 '잡셰어링(일자리 나누기)' 정책에 동참하면서 신입은행원들의 임금을 평균 20%가량 삭감해왔는데 이제는 이를 바로잡겠다는 의지다. 12일 은행 업계 및 금융노조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다음달 6일 은행 신입행원들이 참여하는 '금융권 종사 신입사원 전체 집회'를 연다. 집회를 주관한 한 금융노조 관계자는 "신입행원들의 뜻을 모아 이번 기회에 반드시 임금을 정상화하겠다"고 말했다. 금융노조는 신입사원 집회에 이어 오는 20일에는 은행 노조원 전체가 참여하는 집회도 계획하고 있다. 임금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압박을 더욱 가하겠다는 것이다. 금융계도 이들의 행동에 주목하고 있다. 집회 참가자가 어느 수준에 이를지는 알 수 없지만 임금차별에 대한 신입행원들의 불만이 공론화되는 자리라는 점에서다. 시중은행들도 현재의 임금체계가 잘못됐다는 점에서는 공감하고 있다. 1년 늦게 입사했다는 이유로 임금이 1,000만원 가까이 차이가 나는 상황에 대해 신입행원들이 불만을 품는 것은 당연하다는 점 때문이다. 또 이런 임금체계가 누적 시행될수록 격차는 벌어질 수밖에 없다. 더구나 2009년부터 잡셰어링에 동참했던 주요 대기업들은 경기가 호전된 2010년 이후 대부분 임금체계를 원위치시켰다. 최근에는 지방은행들도 신입사원 임금을 원래대로 회복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연봉 삭감이 환원되지 않은 채 해마다 같은 임금인상률을 적용한다면 선후배 간 임금격차는 더 벌어진다"며 "시정돼야 할 부분은 맞다"고 말했다. 이런 문제를 알고 있지만 은행들도 결정을 쉽게 내리지는 못하고 있다. 정부가 주도했던 정책인 만큼 거스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시중은행 한 곳에서 먼저 신입행원 임금을 제자리로 돌려놓으면 다른 은행들은 그대로 따라갈 준비가 돼 있지만 정부의 압박이 크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