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기아차 광주공장 年50만대 생산체제로

노사, 공장 증설등 합의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이 연간 50만대 양산 체제를 갖추게 됐다.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은 노사가 그동안 논의를 진행해온 쏘울 병행 생산 및 1ㆍ2공장 증산 관련 노사협의를 마무리 짓고 50만대 재편사업의 세부 내용을 합의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라인 증설 작업을 오는 3월3일까지 마무리할 계획이어서 늦어도 다음달 하순께부터 본격적인 양산 체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번 노사 합의로 광주공장은 그동안 카렌스와 쏘울을 병행 생산하던 1공장의 생산능력을 37UPH(시간당 생산대수)에서 42UPH로 끌어올리고 2공장도 3월 출시 예정인 스포티지R와 함께 쏘울을 혼류 생산하면서 생산능력을 42UPH로 올리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가 예정대로 진행되면 현재 국외 시장에서 인기를 끄는 쏘울은 1공장에서 약 14만대, 2공장에서 약 6만대 등 단일 차종 20만대 생산 시대를 열게 된다. 특히 스포티지R(2공장)와 카렌스(1공장), 봉고트럭ㆍ대형버스(3공장) 등 기존 생산 차량 대수를 합하면 현재의 42만대 생산 규모가 50만대로 늘어나게 된다. 그동안 기아차 광주공장의 최대 실적은 지난 2007년에 34만6,000여대를 생산해 매출 5조5,000억원을 기록한 것이었지만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올해 이를 훌쩍 뛰어넘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지역 총생산액의 24.6%, 수출액의 30%를 차지할 만큼 광주지역 최대 제조업체인 기아자동차의 생산능력이 50만대 시대를 열게 됨에 따라 최근 금호타이어 위기 등으로 어려움에 빠진 지역경제의 회복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공장이 한 관계자는 "쏘울은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외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어 현재의 생산능력으로는 국내외 고객의 주문 물량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며 "이번 노사 합의로 수출을 포함한 매출 증가가 이뤄지면 광주공장 협력업체는 물론 지역경제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