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재욱 클럽피팅] 단조 아이언 VS 주조 아이언

아이언은 제조 공법에 따라 단조(Forged)와 주조(Casting)로 나뉜다. 단조 공법이란 말 그대로 ‘때려서 형상을 만든다’는 것이다. 고체인 쇳덩어리를 높은 온도에서 벌겋게 달구어 강한 유압의 기계로 내려쳐서 그 형상을 만드는 공법이다. 물론 과거에는 대장간에서 칼을 만드는 것처럼 기술자가 두드려 만들었었다. 주조 공법은 길거리에서 파는 붕어빵을 연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잘 반죽 된 밀가루 물을 붕어빵의 쇠 틀에 붓듯이 고체인 쇳덩어리를 녹여서 미리 만들어 놓은 틀에 부어서 헤드의 형상을 만든다. 이렇듯 단조냐 주조냐는 그 공법상의 차이일 뿐 헤드의 모양의 관용도나 난이도와는 상관이 없다. 하지만 “단조 아이언은 프로나 싱글 골퍼들을 위한 것”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아주 오랜 과거에는 주조 공법이 존재하지 않았었고, 대형용량의 유압 프레스가 없었기 때문에 농기구나 칼을 만들듯이 기술자가 일일이 두드려서 헤드를 만들었었다. 그렇기 때문에 헤드 모양은 복잡할 수가 없었으며 대부분 헤드의 뒷부분에 홈 (Cavity)가 파이지 않은 소위 머슬 백(Muscle Back) 형태의 모델이 주를 이루었다. 그런 이유로 단조 아이언은 고수용이라는 말이 생겨난 것이다. 하지만 현재는 유압기계의 덕분으로 단조공법으로도 충분히 쉬운 캐비태 백의 헤드를 만들 수 있다. 즉, 이제 공법의 차이로 인한 헤드의 난이도나 관용도의 차이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참고로 아이언은 그 구조나 형태에 따라서 크게 머슬 백과 캐비티 백으로 나뉜다. 캐비티 백은 헤드의 뒷면의 무게중심 자리를 파내고 그만큼의 남는 무게를 헤드의 가장자리로 재배치 시킨 구조를 말한다. 따라서 헤드의 뒷부분을 보면 무게중심 자리가 가장 얇게 되고 가장자리가 두꺼운 형상을 하고 있다. 때문에 어느 정도 미스 샷을 해도 거리의 손실을 덜 보게 된다. 이에 비해 머슬 백은 말 그대로 근육이 볼록한 것처럼, 헤드의 무게중심 부분이 가장 두껍고 헤드의 가장자리가 얇게 만들어진 구조이다. 스위트 스폿에 볼을 맞히면 더 없이 부드러운 감을 느끼지만 스위트 스폿을 벗어나면 캐비티 백에 비해 거리 손해를 많이 보게 된다. /B&J골프(02-548-5785)대표ㆍheadshaft@hanmai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