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증권·보험社, 접대비 가장 많이 쓴다

김영란법이 국회를 통과한 가운데 은행·증권·보험 등 금융 업종이 접대비를 가장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세청의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2013년 한 해 동안 금융·보험업종의 기업(1만8,518개)이 지출한 총 접대비는 7,500억원이다.


기업 1곳당 평균 접대비는 4,050만원으로, 14개 업종 가운데 최다였다. 전체 법인(51만7,00여개)의 1곳당 평균(1,739만원)보다 2,311만원(132.9%) 더 많았다.

이는 제조업(11만4,040개) 1곳당 평균 접대비 지출(2,739만원)보다 1,311만원(32.3%) 많은 것으로, 업종 평균으로는 유일하게 4,000만원을 넘었다.


보건업(1,707개)은 평균 2,666만원, 도매업(10만4,662개)은 1,653만원, 운수·창고·통신업(3만11개)은 1,444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서비스업(10만1,168개)은 1개 기업당 연간 1,409만원의 접대비를 사용했고, 건설업(8만2,895개)은 평균 1,235만원을 지출했다.

금융·보험업의 접대비 지출은 2007년부터 줄곧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06년에는 전기·가스·수도업의 접대비가 평균 5,850만원으로, 금융·보험업(3,592만원)보다 많았으나 이후 계속 줄었다.

2013년에 이 업종의 평균 접대비는 2006년의 4분의1 수준인 1,409만원으로 서비스업보다 낮았다. 이는 전기·가스·수도업의 경우 공기업이 대부분인데, 그동안 공기업 개혁이 진행되면서 접대비도 감소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까지는 금융·보험업에 이어 보건업의 평균 접대비 지출이 두 번째로 많았다. 보건업은 2010년에는 평균 3,134만원의 접대비를 지출했으나, 2013년에는 2,666만원으로 468만원(14.9%) 감소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