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과학자의 충정 ‘서울대 방폐장’

서울대 교수들이 원전수거물관리시설(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의 캠퍼스내 유치를 자청하고 나섰다. `부안사태를 염려하는 서울대 교수들의 모임`은 7일 정운찬 총장에게 원전센터 유치를 건의하고 서명운동에 나서 이미 60여명의 교수들이 동참했다. 서울대 교수들의 건의는 방폐장이 주민 안전을 해하지 않는다는 과학적 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건의에는 국가의 주요 국책사업이 지난 18년 동안 국론분열과 국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사태를 바라보고만 있을 수 없다는 우국충정도 담겨있다. 아울러 이들은 서울대 관악산 부지 내에 이미 넓은 지하공동이 준비되어 있어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동굴 처분과 핵연료 중간저장 뿐 아니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영구처분에 대비한 지하 연구시설의 유치에도 적합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내 최고의 지성으로 평가되는 서울대 교수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구상의 실현 가능성 여부를 떠나 방폐장의 안전성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교수들의 제안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주민 행정기관 시민단체 간에 복잡한 의견수렴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고, 그것이 순탄치 않을 것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한 서명교수가 지적했듯이 의지만 있다면 허황된 얘기만도 아니라고 본다. 국가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서울대가 방폐장을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숙연한 느낌마저 든다. 서울대 방폐장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합리적인 사업 추진과 함께 부안군처럼 민민(民民) 갈등을 유발하는 환경론자들의 일방적인 폭력시위도 자제되어야 한다. 핵 반대 운동은 인정되어야 하며, 환경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란다. 하지만 무한정한 전력 낭비를 줄이려는 운동은 내버려둔 채 전력생산만 저지한다면 우리나라도 지난 여름 뉴욕을 암흑천지로 만든 전력부족 사태를 맞이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20여년 동안 원전건설을 자제해 왔던 미국에서 MIT공대 교수들이 지구 온난화 억제를 위해 원자력 발전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정부에 제안한 것도 늘어나는 전력 수요와 환경오염 문제를 아울러 걱정했기 때문이다. 원전은 연이어 건설되고 있는데 그 부산물인 핵폐기물을 처리할 수 없다면 우리에게 더 이상 산업 고도화와 풍요한 전력 사용은 불가능하다. 서울대 교수들의 학자적 양심을 건 발제를 계기로 방폐장의 안전성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이뤄지기를 바라며, 그것이 서울대 캠퍼스든 위도든 아니면 또 다른 유치신청 지역이든 더 이상 국론분열과 국력소모가 없는 방폐장 건립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정배 차장 부동산부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