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영업자 421만명… 4년새 18% 늘어

■국세청 '국세통계' 발표<br>인구증가율의 9배 달해… PC방 등 신규서비스 급증<br>조기 퇴직으로 40대가 가장 많고 여성 진출도 부쩍



최근 4년간 자영업자 수가 인구증가율의 9배에 달할 만큼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조기퇴직으로 40대가 창업에 대거 나선데다 PC방, 스크린골프 연습장 등 신규 서비스 업종이 많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쇼핑몰 창업 등 젊은 여성들의 적극적인 진출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국세청이 23일 발표한 '자영업자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8년 말 기준 국내 자영업자 수는 421만명으로 2004년의 357만명보다 17.9%(64만명)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인구증가율 2.0%의 9배에 달하는 것으로 그만큼 개인창업이 붐을 이뤘다는 얘기다. 업종별로는 PC방ㆍ골프연습장ㆍ미용실 등 신규 서비스업이 4년간 56.1%(36만7,000명→57만4,000명)로 크게 늘었다. 반면 '자영업의 대명사'인 음식업과 숙박업은 각각 5.6%, 5.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오피스텔 임대사업 등 부동산 임대업도 41.9%(71만3,000명→101만2,000명) 늘어나기는 했지만 이는 2007~2008년 일제히 무등록 사업자를 정비해 사업자로 전환시킨 결과로 풀이된다. 연령대를 보면 40대가 32.9%(138만6,000명)로 가장 많았고 50대 28.5%(119만9,000명), 60대 이상 18.6%(78만3,000명), 30대 16.8%(70만5,000명), 20대 이하 3.2%(13만5,000명) 등이었다. 경기침체 등으로 '조기퇴직'이 40대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40대가 퇴직 후 창업에 적극 나섰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여성창업도 꾸준히 늘어 여성 자영업자가 2004년에는 35.6%였으나 2005년 36.4%, 2006년 37.0%, 2007년 37.1%, 2008년 37.5%를 차지했다. 특히 20대의 경우 여성 자영업자가 44.1%로 가장 높았으며 남성의 비율이 높았던 건설업과 제조업에서도 여성의 진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국세청은 밝혔다. 또한 소매업ㆍ음식업ㆍ숙박업은 창업 후 1년이면 매출액이 '계속 사업자'와 비슷한 수준(97~104%)이었으나 제조업ㆍ서비스업의 경우 그 비율이 80%에 못 미쳐 업종 특성상 단기간에 일정 수준의 매출액을 올리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업종은 제조업으로 평균 3억9,400만원의 매출을 올렸고 도매업(3억4,300만원), 소매업(2억3,900만원) 등이 높은 반면 음식업(1억4,800만원), 숙박업(1억2,200만원), 서비스업(1억900만원) 등은 낮았다. 초기 투자자본 회수와 관련, 창업자금이 많이 소요되는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투자자본 회수율은 각각 3.1%, 5.7%에 불과했지만 창업자금이 상대적으로 적은 도ㆍ소매업, 음식ㆍ숙박업의 회수율은 각각 32.1%, 16.1%였다. 또 평균 투자자본 회수율은 18.4%로 금리(정기예금 가중 평균 수신금리) 5.87%보다 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