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30대 재벌 계열사 5년간 50% ↑…유동성 위기 부작용 초래할 수도”

30대 재벌의 계열사가 지난 5년간 5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웅진, STX, 동양 등 국내 재벌들이 유동성 위기로 무너지는 가운데 이러한 계열사 급증은 유동성 위기를 촉발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6일 재벌닷컴은 총수가 있는 자산 순위 30대 재벌그룹의 계열사 수는 지난 2007년 말 843개에서 작년 말 1,246개로 403개(47.8%) 증가했다고 밝혔다.


재벌그룹 계열사 수는 2008년 말 1,006개로 1,000를 돌파한 이후 2010년 말 1,126개로 늘었고 2011년 말 1,200개를 넘어섰다.

올해 들어서는 소폭 감소해 9월 말 기준으로 1,237개로 집계됐다.

30대 재벌 중 5년간 계열사가 감소한 곳은 금호아시아나 한 곳뿐이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2007년 말 35곳에서 작년 말 20곳으로 계열사가 줄었다.

반면 5년간 계열사가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롯데그룹이었다. 롯데그룹 계열사는 2007년 말 43개에서 작년 말 79개로 36곳이 늘어났다.


이어 동부그룹이 33곳 증가했으며 LS와 LG그룹이 각각 28곳씩 늘었다.

관련기사



증가율 기준으로는 현대중공업그룹이 2007년 말 8곳에서 작년 말 27곳으로 세 배 이상(237.5%·19개) 증가해 가장 두드러졌다.

이어 현대가 9개에서 21개로 133.3% 늘었고 LS와 동부도 증가율이 127.3%, 122.2%를 나타냈다.

한편 한국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M&A가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각 그룹의 한계를 넘어서는 무리한 확장은 ‘승자의 저주’를 불러올 수 있다.

많은 부실기업이 구조조정을 거쳐 정상화된 후 주요 재벌에 인수되면서 재벌의 경제력 집중이 심화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실제로 대형 M&A를 성사시킨 그룹들이 과도한 차입 탓에 유동성 위기에 빠져 좌초되는 사례가 되풀이되고 있다.

30대 재벌의 작년 말 부채 총액은 574조9,000억원 규모로 2007년 말 313조8,000억원보다 83.2%, 261조1,000억원 증가했다.

30대 그룹 중 절반가량은 5년 전보다 부채비율이 상승하고 채무 상환 능력이 떨어졌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