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가CIO」 뒷받침 법제정 시급

◎각계 “국운걸린 문제” 직제도입 환영정부가 국가CIO 직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각계 전문가들은 기다렸다는 듯 적극 환영하고 나섰다.<본지 1일자 12면 참조> 1일 각계 전문가들은 정부의 국가CIO 직제 도입방침에 대해 한결같이 『시의적절한 정책』이라며 환영하면서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대비해 국가적으로 큰 틀을 갖추는 일』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또 『이 문제는 국운이 걸린 일』이라며 자칫 대선에 밀려 소홀히 취급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관련 법을 하루빨리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차기 정권에서도 이 제도가 유지, 발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최근 LG그룹의 CIO로 임명된 김범수 LG­EDS시스템 사장은 『LG, 삼성, 현대 등 주요 그룹은 각 계열사별로 CIO를 두고 이들로 구성된 CIO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며 『이는 정보기술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최대 무기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에서도 정보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는 것은 마찬가지』라며 『이번 조치를 적극 환영한다』고 말했다. 김효석 교수(중앙대 경영학과)도 『국가CIO 직제 신설에 동의한다』면서 『한국CIO포럼(회장 곽치영 데이콤 사장) 주도로 정부에 제출할 「국가CIO 직제 도입을 위한 정부 조직개편 건의서」를 작성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차기 정권에서도 이 제도의 영속성을 보장받기 위해 『오는 23일 한국정보산업연합회(회장 이룡태)가 개최하는 「대선 주자 정보화정책 발표 및 토론회」에서 이 문제를 집중 거론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국가CIO 직제 필요성에 관한 보고서를 정부에 제출한 한국전산원 정보화연구실 이규정 박사도 이를 『바람직한 일』로 평했고, 기술지원단 이석한 단장은 국가CIO 직제 도입과 함께 인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단장은 『작고 효율적인 정부는 조직개편을 통해 가능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정보화 마인드와 강력한 리더십을 갖고 있는 인물(CIO)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이균성 기자>

관련기사



이균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