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남북경협' 공기업 역할 더욱 커진다

한전, 北자체 전력공급위해 각종사업 추진 가능성<br>개성공단 1단계 주축 토공, 해주특구 개발도 주도<br>자원개발 분야선 광업진흥공사·석유공사 역할 주목


'남북경협' 공기업 역할 더욱 커진다 한전, 北자체 전력공급위해 각종사업 추진 가능성개성공단 1단계 주축 토공, 해주특구 개발도 주도천문학적 인프라 구축 자금 조달·투자금 회수 부담 이철균 기자 fusioncj@sed.co.kr '10ㆍ4 공동선언'으로 시작될 2단계 남북경제협력(이하 남북경협)은 2000년 6ㆍ15공동선언 때보다 더 구체적이고 규모도 커져 토지공사ㆍ철도공사ㆍ한국전력 등 주요 공기업의 역할은 대폭 커졌다. 그러나 2단계 남북경협은 ▦개성공업지구 2단계 개발 ▦해주특구 개발 ▦개성~신의주 철도, 개성~평양 고속도로 개보수 등 공기업의 선(先)투자 뒤 민간기업이 뒤따라오는 구조를 갖고 있는 사업이 주를 이뤄 공기업이 갖는 부담은 큰 상황이다. ◇1단계 경협보다 더 커진 공기업 역할=개성공단으로 대표되는 1단계 남북경협은 그 규모와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토지공사가 개성공단의 설계ㆍ분양ㆍ시행을 맡아 시범단지를 비롯해 현재 330만㎡의 1단계 사업을 진행 중이고 한국전력은 개성공단에 전력을 송전방식으로 전환해 10만kW를 남측에서 보내고 있다. 또 철도공사와 도로공사는 경의선과 동해선을 개보수하는 역할에 그쳤다. 하지만 2단계 남북경협은 다르다. 규모와 참여할 공기업의 대상이 더 커지고 늘었다. 토지공사는 2단계 개성공단을 비롯해 해주특구 등의 개발을 주도한다. 도로ㆍ철도공사는 개성~평양 도로와 개성~신의주 철도를 보수하는 역할을 주되게 맡게 된다. 1단계 때의 경의선ㆍ동해선 부분 연결보다는 그 규모가 훨씬 크다. 개성공단 시범단지에 국한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한국전력도 앞으로 1ㆍ2단계 개성공단은 물론 해주특구 등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또 서해안 유전 개발에 동참할 가능성이 큰 석유공사는 물론 북측의 광업자원을 개발할 광업진흥공사도 대북경협을 이끌어갈 주된 주체로 부상했다. ◇역할 커진 만큼 부담은 백배=2단계 남북경협이 구체적인 합의를 많이 이뤘지만 민간자본의 경우 본격적인 대북 투자에 뛰어들 가능성은 아직은 낮다. 3통(통관ㆍ통신ㆍ통행) 해결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해소되고 항만ㆍ도로ㆍ전기 등의 기본적인 인프라가 구축돼야만 본격적인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일단 멍석을 까는 역할은 공기업이 할 수밖에 없다. 민간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공기업 사장들이 대거 수행원에 동참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공기업의 자본은 공적자금의 성격을 띠고 있는 만큼 국민들에게 합의를 구하지 않고 대북투자를 할 수 있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하지만 공기업의 입장에서는 1단계 경협에 비해 훨씬 커질 투자비용의 '조달과 회수'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 공기업 관계자는 "도로나 철도 등 SOC 사업에 산업은행 추산으로 오는 2015년까지 14조114억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사업이 단계적으로 이뤄져도 자금의 조달, 투자금 회수 등을 놓고서는 솔직히 부담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만약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경우 매년 국정검사에서 당할 책임 추궁은 또 어떻겠냐"고 강조했다. 물론 SOC의 경우 민간과 함께 민자 SOC 방식으로 투자할 수도 있다. 민간이 결합한 만큼 자본 조달은 물론 이후 책임소재에서 부담은 덜 수 있다. 그러나 국내 SOC 민간투자도 '최소 (운영)수익 보장' 약정기준은 지난 2004년부터 정부고시사업으로 제한했다. 민간자본이 수익을 보장 받은 채 민자 SOC사업을 북측에서 시행하기 위해서는 결국 '정부고시사업'으로 분류해야만 가능한 것이다. 공사의 한 관계자는 "대북 경협사업에 정부고시사업이 적용된다면 여려 부담은 덜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그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7/10/07 17:5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