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미래 4대 트렌드, 글로벌-고령화·여성-환경-융합

■ 황창규 단장 산업기술혁신 비전 발표<br>IT·BT·NT등 화학적 결합 통한 기술·아이디어 글로벌 허브 노려야<br>산업에 중점 둔 신기술 개발서 사람 위한 휴머니테크로 이동 필요


모든 생명체의 유전자를 해독하고 원하는 것은 어떤 상황에서든 최적화시켜 주는 정보기술(IT),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산업 패러다임 변화와 전세계의 동반성장. 미래 기술을 통해 오는 2020년 우리가 맞이할 세상의 모습이다.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2020년 국민소득 4만달러와 세계 5대 기술강국 달성을 위한 대한민국의 기술혁신 청사진이 제시됐다. 황창규(사진) 지식경제 연구개발(R&D) 전략기획단장은 9일 개막한 '테크플러스 2010:이노베이트 코리아'에서 '산업기술혁신 비전 2020'을 내놓았다. 황 단장은 이날 "우리는 산업화ㆍ정보화 시대를 넘어 '지식'이 중심이 되는 사회로 가고 있다"며 "한국은 이제 시장 추종자(Fast Follower)를 벗어나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지금까지 기술이 '산업'에 중점을 두고 왔다면 앞으로는 사람을 중심으로, 사람을 위한 '휴머니테크(Humani-tech)'로 이동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미래 사회에 대한 네 가지의 큰 트렌드도 제시됐다. 황 단장은 앞으로의 사회는 ▦글로벌화의 심화 ▦고령자∙여성 등 새로운 거대인구집단(New Majority)의 등장 ▦자원∙환경 등 지속 가능성의 부각 ▦융복합화 기술의 확대를 큰 축으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했다. 황 단장은 "2020년에는 유전자 해독을 통해 치료 중심에서 질병관리 중심으로 전환하고 IT가 건강과 업무 등 생활 깊숙이 침투할 것"이라며 "특히 화석연료보다는 신재생 등 기술에 의존한 에너지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지구촌의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사회로 도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10년 후의 세상을 주도하기 위한 국내 산업의 전략과제는 '신기술의 거대 산업화'와 '주력 산업의 고도화' 등 크게 두 가지로 꼽혔다. 새로운 기술을 산업화하면서 그동안 경쟁력을 발휘해온 것들에 대해서는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노려야 한다는 의미다. 우선 신기술 측면에서는 서비스 로봇, 탄소기반 소재,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천연의약물, 가정용 의료기기, 유전자 분석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 주력 산업 고도화 분야에는 원전플랜트, 고속철, 고부가가치 선박, 전기자동차, 스마트 그리드, 모바일 반도체, 실감형 스마트TV 등이 포함됐다. 황 단장은 "다양한 산업에서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완성품∙부품소재∙장비∙인프라를 망라한 산업의 '에코(Echo) 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는 독창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며 "IT, 바이오기술(BT), 나노기술(NT) 등이 기술 단계부터 화학적 결합을 통한 가치창출과 더불어 기술과 아이디어의 글로벌 허브로 발돋움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산업별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해 내년 상반기 중 발표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우리가 10년 내 선진국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뿐 아니라 사회적 합의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