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발사체 개발은 정부 출연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지난 30일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KSLV-I) 역시 대한항공과 한화ㆍ두원중공업 등 150여개 민간기업이 참여하기는 했지만 항우연이 개발과 발사 운영을 총괄했다. 그러나 연구부터 개발까지 국책연구소 중심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이 민간 우주산업체 생태계에는 부정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국책연구소가 설계부터 조립시험까지 모든 것을 주도하고 관여하면서 산업체는 부품 납품업자 역할에 그치고 있다"며 "이 같은 역할분담으로는 경쟁국을 따라잡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정부나 국책연구소는 우주산업의 큰 그림을 그리고 판로를 개척해주고 민간 산업체는 부품 설계에서 제작ㆍ조립을 통해 완제품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줘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주강국들은 민간 산업체들이 탄탄한 기반을 갖고 있다. 실제로 미국 보잉사는 국제우주정거장(ISS) 국제 공동 건설계획을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록히드마틴사는 바이킹과 보이저 등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도 개발하고 있다. 미국 스페이스X사는 팔콘 시리즈로 유명하다. 가까운 일본만 해도 미쓰비시중공업이 일본의 주요 로켓인 H-2A 발사체를 제작하고 있다.
물론 한국에서 우주산업 자체가 산업화에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발사체나 위성 기술을 갖추고 제작하는 것 자체가 긴 연구개발 과정과 예산을 필요로 할뿐더러 설령 역량이 있더라도 발사체나 위성 수요가 한정돼 있는 만큼 민간 기업이 우주산업에 뛰어드는 것 자체가 큰 모험인 것이다.
김승조 항우연 원장 역시 지난해 서울경제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항우연의 역할은 항공우주과학을 연구하는 게 기본이지만 항공우주산업으로 우리나라가 나가는 길목에서 터전을 닦아주고 산업체에 넘겨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단기적 성과를 중시하는 한국의 벤처 환경에서 우주산업의 민간 산업화는 아직은 이르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