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위성영상으로 쌀 생산량까지 예측한다

위성영상과 기상정보를 이용해 쌀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화제를 모으고있다.


농촌진흥청은 6일 벼 생육이 왕성할 때 촬영한 위성영상과 벼 이삭이 여무는 시기의 기상정보를 이용해 쌀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쌀 수량 추정 모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발사한 위성(MODIS)은 매일 한 차례 한반도 전역을 250m 공간해상도로 촬영하고 있다.

위성영상 중 벼 이삭이 올라올 때인 8월 20일 전후의 영상 정보를 제공받아 벼 이삭이 익을 때인 등숙기의 기상정보와 결합시켜 쌀 생산량 예측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모형을 통해 2010년 쌀 생산량을 추정한 결과 10a당 492㎏이 나와 통계청에 발표한 최종 수량 483㎏과 9㎏ 정도 오차가 발생했으며 지난해 추정 결과는 494.5㎏으로 통계청의 495.6㎏과 1.1㎏ 정도의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