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셋째 아이에 1억7천만원 지원하는 동문건설

저출산시대를 맞아 중견건설업체인 동문건설이 셋째 아이를 출산한 사원에게 500만원의 축하금과 함께 매월 50만원의 양육비를 지급하기로 한 출산장려책이 잔잔한 화제를 모으고 있다. 둘째 아이에겐 축하금 300만원과 함께 매월 양육비 10만원, 첫째 아이에게도 축하금 100만원을 각각 주기로 했다. 셋째를 낳은 직원은 아이가 대학졸업 때까지 도합 1억7,000만원 정도를 지원 받게 된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데도 출산율은 1.16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이라 인구감소는 국가의 미래가 달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금융기관인 골드만삭스는 현추세라면 2050년 한국의 인구는 4,500만 명으로 감소하고 이 덕택에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세계 제2위인 8만1,462달러가 될 것이라고 묘한 전망까지 했다. 이처럼 저출산ㆍ고령화문제가 심각한데도 국민들은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 맞벌이 시대에 출산기피는 양육비 부담이 큰 원인의 하나다. 정부도 최근 영유아의 보육료와 교육비 지원 등에 19조3,000억원을 투입하는 ‘저출산 종합대책’을 마련하는 등 출산율 높이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정부가 아무리 좋은 출산장려책을 마련해도 기업이 호응을 해주지 않으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점에서 동문건설의 파격적인 출산장려책은 매우 고무적이다. 최근 다양한 출산장려책을 마련한 일본 정부가 종업원 301명 이상의 기업에 ‘육아지원행동계획’을 발표할 것을 촉구하고 나선 것도 기업의 협조 없이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 나온 것이다. 우리도 임금 피크제 도입과 함께 정년을 연장하고 양육비를 지원하는 기업도 있지만 이는 아직 극소수에 불과하다. 저출산은 인력부족, 근로자의 노령화 및 고임금을 초래해 결국 기업의 부담으로 이어진다는 자각이 필요하다.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 출산과 육아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키고 여성이 출산 후 사회에 복귀하기 쉬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출산장려책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동문건설의 파격적인 양육비 지원은 좋은 본보기가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