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 워크아웃 곳곳서 '삐걱'

법원 "정부등 절차무시 소액주주들 피해"금융시장 혼란을 막기위해 사실상 「변칙적인」 방법으로 동원됐던 대우 워크아웃이 연속된 악재에 삐걱거리고 있다. 이른바 「서둘러 후유증」이 표면화되고 있는 셈. 시간이 흐를수록 워크아웃 참여자들의 불만이 연이어 터져나오는가 하면, 그동안 금융시장 안정과 국가경제 회복이라는 명제아래 숨죽이던 계열사별 노조들도 파업 등을 무기로 자기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는 등 곳곳에서 파열음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따라 당초 상반기안에 매듭지어질 것으로 보였던 대우 주력계열사의 워크아웃 시스템 구축이 상당기간 연장되고, 당초 예정된 매각작업에도 차질을 빚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대우호(號)가 태풍뒤의 또다른 먹구름에 의해 흔들리고 있는 셈이다. ◇변칙 워크아웃에 대한 제동= 대우전자에 이어 믿었던 대우중공업마저 법원에 의해 비정상적 워크아웃을 중단하라는 판정이 내려졌다. 인천지법은 지난 4월28일 대우중공업 소액주주들의 「이사회결의 효력정지 가처분신청과 주주총회 부존재 확인 소송」에 대해 『본안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이사회 및 주총결의의 효력을 정지시킨다』고 결정했다. 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회사에 대해 무리하게 워크아웃이 추진됐으며 회사분할도 소액주주에 불리하게 이뤄졌다는 소액주주 주장을 수용한 것. 지난 4월11일 대우전자에 이어 두번째. 문제는 법원의 이같은 결정이 대우 워크아웃의 근본적인 약점을 꼬집고 있다는 것. 정부와 채권단은 지난해 8월26일 대우 워크아웃에 돌입하면서 「금융시장 안정」이라는 대명제를 내세워 일반 워크아웃 절차를 사실상 무시한채 일정을 진행시켜왔다. 법원은 바로 정부와 채권단의 이같은 비정상적 행위에 대해 제동을 걸고 있는 셈이다. ◇가시지 않는 이해당사자들 목소리= 기업구조조정위원회는 당초 지난 3월말까지 제반 워크아웃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그같은 계획은 장밋빛 그림에 그치고 말았다. 신규자금 지원 등 윤활유를 붓기위한 작업은 어느정도 진척됐지만, 소수들의 이해관계를 달래는데는 실패했기 때문. 대표적인게 개인·일반법인 채권자들의 반발. 대우차의 경우 이들 채권자들이 제기한 재산가압류 금액이 채권금액의 56%인 2,245억원에 이른다. 심지어 군인·경찰공제회 등 정부 산하단체들마저 「돈달라」 외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은 ㈜대우도 마찬가지. 해외채권단 협상이 종료되는 5월말께나 본격 협상을 시작, 6월께나 매듭지어질 전망이다. 경기회복과 함께 높아지는 노조의 목소리도 대우 워크아웃을 가로막고 있다. 대우자동차의 경우 노조 파업 등으로 인수희망자들의 정상적인 실사작업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국내 공장을 놓아둔채 해외법인부터 실사를 벌이는 상황이 벌어졌다. 대우전자에 이은 대우중공업의 법원판결도 미시적으로는 소수 이해당사자들의 입김이 분출된 결과다. ◇늦어지는 주력사 워크아웃 일정, 매각작업에도 암초= ㈜대우의 경우 당초 6월말안에 워크아웃 시스템을 마무리지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는 공동담보 정산과 신규자금 집행 지연 등으로 사실상 불가능해졌고, 채권단도 일정을 수정했다. 한빛은행에 따르면 ㈜대우의 워크아웃 시스템은 8월중순에야 매듭지어질 것으로 보인다. 6월하순 해외협상을 완전 마무리한후, 7월하순께 분할작업에 대한 채권자 보호절차를 거쳐 회사분할을 완료한다는 방침. 이후 8월중 신설회사에 대한 2차 출자전환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법원에 의해 워크아웃에 제동이 걸린 대우전자와 대우중공업도 마찬가지. 대우전자 주채권은행인 한빛은행은 5월초순 법원에 이의신청을 낸다는 방침이지만, 출자전환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 부채를 줄이겠다는 당초 계획에는 차질을 빚게 됐다. 채권단은 이의신청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주총을 다시 개최한다는 방침이지만, 당초 일정은 최대 6개월까지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대우중공업도 1일 회사를 대우종합기계, 대우조선공업, 대우중공업 등 3개사로 분리해 신설회사를 출범시키려 했지만, 법원결정으로 상당기간 늦어지게 됐다. 대우중공업 관계자는 『법원이 본안판결을 언제 확정할지는 예상하기 어렵지만 최악의 경우 6개월을 끌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매각작업도 주춤해지고 있다. 대우차 매각일정이 한달 가까이 늦어진데 이어 「매각1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던 대우통신 TDX부분도 채권단 신규지원 지연으로 기업가치가 훼손되면서 체이스맨해튼으로의 매각이 무산됐다. 씨티은행 계열의 구조조정회사로 다시 매각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빨라야 8월께나 가능할 전망. 여타 계열사 매각작업도 비슷한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그동안 국가경제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이해당사자들의 욕구가 무시돼왔다』며 『정부와 채권단도 한 템포 늦추더라도 다시한번 정상적 워크아웃 시스템으로 돌아가는게 앞으로 또다른 구조조정에 대한 좋은 선례로 남는 길』이라고 충고했다. 김영기기자YGKIM@SED.CO.KR 입력시간 2000/04/30 18:55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