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문화ㆍ환경ㆍ경제 올림픽 실현할 것"

문화부,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5대 전략 제시 정부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5대 전략을 발표했다.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4일 문화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0년을 기다린 평창의 꿈을 실현하고 아시아 및 전 세계에 동계스포츠를 확산시키며 올림픽 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 같은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5대 전략으로 ▦대회지원 특별법 제정 및 조직위원회 구성 ▦문화 올림픽 달성 ▦환경올림픽 구축 ▦경제올림픽 실현 ▦동계스포츠 저변 확대 및 경기력 향상을 제시했다. 우선 문화부는 효율적인 대회 준비를 위해 국회와 강원도, 대한체육회, 기획재정부 등 관계 기관 및 부처와 협조해 3개월 이내에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를 출범시키는 한편 대회 지원특별법 제정을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문화부는 또 박선규 2차관이 이끄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 관광ㆍ문화 콘텐츠를 발굴해 올림픽과 연계하는 방안을 수립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매년 해외 거점 지역을 정해 ‘한국문화예술 한마당’을 개최하고 동계스포츠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대회 후 효과적인 경기장 활용 방안을 수립해 경제올림픽을 달성할 방침이다. 정 장관은 고속 전철 등이 완공되면 서울과 한 시간 이내로 접근성이 향상되는 만큼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관해서는 낙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2의 김연아’를 키우는 ‘드라이브 더 드림Ⅱ’ 프로젝트도 추진하기로 했다. 2018년까지 약 5,500억원을 투자해 유망주를 동계 종목 선진국으로 유학을 보내는 한편 내년부터 생활스포츠 시설 확충에도 나설 계획이다. 한편 정 장관은 평창동계올림픽의 남북한 공동개최 방안에 대해서는 “IOC(국제올림픽위원회)와 약속한 내용이 있다. 아직 잉크 자국이 마르지도 않았는데 약속을 어기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조직위원회 구성에 대해서는 “위원장 인선은 문화ㆍ환경ㆍ경제 올림픽 추진 능력, IOC와 관계의 계속성도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