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폭스바겐 스캔들은 ‘북한식 지배구조탓’

세계 1위 자동차 제조업체 폭스바겐에서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이 일어난 것은 북한에 비견되는 비합리적인 지배구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 칼럼니스트 제임스 스튜어트는 24일(현지시간) 칼럼에서 “폭스바겐의 문제는 감독이사회(감사회) 회의실에서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스튜어트에 따르면, 폭스바겐의 지배구조는 가족 경영, 정부 지분, 노동조합 영향력이 혼합된 특이한 형태다.

관련기사



올해 초 강제로 물러나기 전까지 폭스바겐 감사회를 좌지우지한 것은 페르디난트 포르셰의 손자인 페르디난트 피에히(78). 그는 지난 4월 조작 스캔들이 책임을 지고 사퇴한 마르틴 빈터코른 폭스바겐 최고경영자(CEO)를 축출하려다 실패해 감사회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1993년 폭스바겐 감사회를 물려받아 20년 넘게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면서, 종종 ‘가족 합의’에 따라 과반의 의결권을 행사했다. 2012년에는 네 번째 부인이자 결혼 전 피에히 가문의 가정교사였던 우르술라를 폭스바겐 감사회 멤버로 선출했다. 많은 주주들이 자격과 전문성을 문제 삼아 반대했지만, 포르셰와 피에히 가문은 과반의 의결권을 행사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노동조합 대표는 감사회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며, 나머지 두 자리는 의결권의 20%를 보유한 니더작센주 정부, 두 자리는 17%를 보유한 카타르의 국부펀드인 카타르 홀딩스가 각각 차지하고 있다. 포르셰와 피에히 가문은 세 자리를, 경영진 대표는 한 자리를 각각 갖는다. 독일 일간 쥐트도이체차이퉁(SZ)은 이런 폭스바겐의 지배구조를 북한의 지배구조에 비유했다. SZ는 “독재적 리더십은 시대에 뒤떨어진 지 오래”라며 “제대로 작동하는 기업지배구조가 실종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찰스 엘슨 미국 델러웨어 대학 지배구조센터 소장은 “감사회에는 외부의 시각이 투영되기 어려우며, 메아리치는 거수기에 불과하다”면서 “감사회는 투자자들을 대신해 경영을 감시하고, 회사의 장기적인 건전성과 이익을 보장하는데 최우선의 목표를 둬야 하는데 폭스바겐은 그렇지 않아 문제”고 말했다. 한 전직 폭스바겐 임원은 “경영진과 정부, 노동조합이 공통적으로 원하는 것은 완전고용”이라며 “폴크스바겐은 독일인을 위한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명이 있다”고 설명했다. 폭스바겐은 작년기준 차량 1천만대를 생산하기 위해 60만명을 고용했다. 세계 2위 자동차제조업체 토요타는 900만대를 생산하기 위해 34만명을 고용하는데 그쳤다./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