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李총리 '與해결사'로 나서나

李총리 “측근·사조직 관리할 시기” 강조

李총리 '與해결사'로 나서나 대통령 자문기구·주변인물 부패가능성 언급혼란한 국정시스템 정비 필요성도 강력제기"盧대통령 대신 총대 멘것 아니냐" 관측도 전용호 기자 chamgil@sed.co.kr 이해찬 국무총리가 재보선 참패와 각종 의혹사건으로 어려움에 처한 여권의 해결사로 나서는 듯한 언행을 보여 주목되고 있다. 이 총리는 2일 대통령 측근과 사조직 부패 가능성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대통령 자문기구를 정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강하게 지적했다. 유전 의혹과 행담도개발 의혹으로 불거진 국정 시스템의 난맥상에 `메스'를 대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리는 오전 서울대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 조찬강연에서 "이 정권이 끝나기 전에 한건 해야겠다는 세력이 생길 수 있다"면서 "그런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측근이나 사조직을) 엄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후에 열린 고위 당정협의에서는 "행담도 문제는 동북아시대위원회의 소임 자체를 벗어난 권한 오버였다"며 "각종 위원회 등 대통령 자문기구가 역할과 본분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내각을 통할하는 총리가 `월권'의 부담을 안으면서까지 대통령 자문위원회 정비와 권력 주변인물들의 부패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직접 나서기 힘든 노 대통령 대신 `총대'를 멘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핵 문제 등 외교현안에 집중해야 할 노 대통령을 대신해 이 총리가 `국내문제'를 정리하고 참여정부 집권 후반기의 안정적 국정운영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총리실은 이 같은 해석을 경계하는 눈치다. 총리실의 한 관계자는 "이 총리의 최근 행보는 모두 업무의 연장선에서 나오는 것으로 분권형 국정운영 체제에서 책임총리로서 대통령을 잘 보좌하고 어려운 현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각종 현안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5/06/02 17:4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