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끝모르게 오르는 FA 선수 몸값

올겨울 FA(자유계약선수)시장이 개점 초반의 썰렁했던 분위기가 후끈 달아오르면서 선수들의 몸값도 유례없는 고공비행을 하고있다. 이같은 열기는 올 프로야구 FA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던 심정수(29)와 박진만(28)이 사상 최고의 거액을 받고 현대에서 삼성으로 유니폼을 갈아입으며 최고에 다다랐다. 국내 최고의 오른손 거포로 꼽히는 심정수와 최고의 민완 유격수인 박진만은 4년동안 계약금과 연봉, 옵션을 포함해 각각 최대 60억원, 39억원에 도장을 찍음으로써 역대 FA 연봉 순위도 일시에 갈아치웠다. 심정수가 받게된 60억원은 지난해 6년간 40억6천만으로 FA 사상 최고 대박을 터트리며 두산에서 롯데로 팀을 옮긴 정수근의 몸값보다 무려 20억원 가까이 많은 액수. 박진만은 총액에서는 정수근에게 간발의 차이로 3위에 올랐지만 계약 기간이 4년임을 감안하면 내용면에서는 오히려 역대 2번째의 대우를 받은 것. 통산 5회 골든글러브 수상에 빛나는 삼성의 3루수 김한수는 역대 5위에 해당하는 28억의 대박을 터트리며 친정팀 삼성에 눌러앉았고, 오랫동안 LG의 간판으로 활약했던 김재현은 4년간 20억7천만원에 SK로 둥지를 옮겼다. 또 심재학 역시 3년간 18억에 기아에 남기로 계약을 마쳐 FA 대박 대열에 일찌감치 합류했다. 이처럼 선수들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데에는 두말할 필요없이 각 구단들의 우승 욕심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올 시즌을 포함해 만년 2위팀으로 각인된 재벌 그룹 삼성은 심정수와 박진만을 싹쓸이하고, 기존의 김한수까지 붙잡는 데만 현대에 주는 보상금을 포함해무려 166억6천만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지출을 감수했다. 구단들이야 무엇보다 우승을 목표로 팀을 운영하는 것이니만큼 좋은 선수를 붙잡기 위해 거액을 펑펑 쓰는 것이 어찌보면 당연할 수도 있고, 장래가 불투명한 선수들 역시 모처럼 찾아온 기회에 목돈을 챙기는 것을 나쁘다 할 수는 없다. 하지만 FA 선수들의 몸값이 무한정 치솟는 것은 프로야구의 현실에 비춰볼 때균형이 맞지 않는 일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삼성이 심정수 등 선수 3명을 붙잡기 위해 4년간 쓰기로 결정한 166억여원은 올시즌 삼성 구단의 총연봉 39억여원의 무려 4배에 해당하는 금액이자 올시즌 프로야구 8개구단 전체가 거둬들인 입장 수입 87억여원의 약 2배에 달하는 돈. 천문학적인 돈이 고작 선수 몇 명에 집중되는 것에 팬들의 시선도 고울리 없다. 한국야구위원회(KBO) 홈페이지와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는 삼성이 좋은 선수들을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워 싹쓸이한 것은 최소한의 동업자 정신마저 시키지 않은처사로 프로야구판 전체를 망치는 행동이라는 팬들의 비난이 빗발쳤다. 일부 팬들은 FA 선수 몇 명에게 구단 운영비 대부분이 집중됨으로써 오히려 2군선수나 일반 선수들의 처우는 더욱 열악해지고 있다면서 야구 발전을 위해서는 FA 제도를 아예 없애야한다는 처방까지 내놓았다. 씨름과 축구 등 다른 프로 스포츠가 느끼는 위화감도 만만치 않다. 일례로 최근 운영비 25억원을 만들지 못해 팀 해제의 수순을 밟고 있는 LG씨름단이 보기엔 연간 2∼3팀을 너끈히 운영할 수 있는 돈이 단 1명의 선수에게 지급되는 프로야구는 남의 나라 이야기일 뿐이다. 또 사커 월드 등 축구 관련 웹사이트에는 삼성 그룹이 차라리 그 돈으로 수원삼성 유소년 센터를 건립하는게 낫지 않냐는 뼈있는 제안도 잇따랐다. (서울=연합뉴스) 현윤경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