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자동차 브랜드 '대우' 해외서 멸종

GM산하 '시보레'로 교체 영향…국내 동향과 대조

올해 들어 GM대우차의 서유럽 수출용 차량들이 일제히 GM 산하 `시보레' 브랜드로 바뀌면서 과거 `대우자동차'(DAEWOO MOTOR) 브랜드는 지구상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됐다. GM의 글로벌 판매전략에 따른 이같은 변화는 GM대우차를 중심으로 옛 대우그룹관계사들이 활발한 연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국내 사정과 극명히 대조되는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부터 GM대우차(사장 릭 라일리)는 마티즈, 칼로스, 라세티, 매그너스, 레조 등 유럽 수출용 전모델에 기존의 `대우'(DAEWOO) 대신 `시보레'(Chevrolet)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대우' 브랜드는 KD(현지부품조립) 방식으로 소규모 수출이 이뤄지는 루마니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등 동유럽 4개국과 베트남에서만 당분간 계속 쓰일 전망이다. 이들 동유럽 4개국의 경우 GM이 대우차를 합병하면서 인수하지 않은 대우차 생산시설이 아직 남아 있어 `대우' 브랜드를 바꾸기 어려운 형편이고, 베트남에서는 `대우' 브랜드의 선호도가 유난히 높아 그대로 쓰는 것으로 전해졌다. GM대우차 관계자는 "올해 들어서면서부터 유럽쪽으로 나가는 수출 차량에는 모두 시보레 브랜드를 달고 있다"면서 "브랜드 관리비용을 줄이고 `대우'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GM대우차가 올해부터 완성차에 관한 한 `대우' 브랜드를 완전히 폐기함에 따라 이 회사 수출 차량들에서는 과거 `대우차' 이미지를 전혀 찾아볼 수 없게됐다. 대표적 수출모델인 마티즈의 경우 앞으로 서유럽에서는 `시보레 마티즈', 동유럽과 중국에서는 `시보레 스파크', 멕시코에서는 `폰티악 마티즈'로 각각 팔린다. 또 칼로스의 경우 미국에서는 `시보레 아베오'나 `스즈키 스위프트+', 유럽에서는 `시보레 칼로스', 캐나다에서는 `폰티악 웨이브'로 판매된다. 라세티의 경우 미국에서는 `시보레 옵트라'나 `스즈키 포렌자', 중국에서는 `뷰익 엑셀르', 유럽에서는 `시보레 라세티'로 팔리고 중형 매그너스는 미국에서 `시보레 에피카'나 `스즈키 베로나', 유럽에서는 `시보레 매그너스'로 거래된다. 과거 대우차 시절 `대우' 한가지 브랜드로 팔리던 GM대우차가 이제는 시보레,뷰익, 폰티악, 스즈키 등 GM 계열 4개 브랜드로 갈라지게 된 셈이다. 그러나 이처럼 GM 계열 브랜드와 판매망을 적극 활용하는 수출 전략에 힘입어 지난 2002년 출범 당시 22만4천대에 불과하던 GM대우차의 수출실적이 작년에는 79만5천대로 255%나 늘어났다. 이 회사 관계자는 "해외시장에서 대우 브랜드를 버리는 것은 GM의 일원으로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라면서 "올해부터는 GM의 유럽시장 포트폴리오에서도 우리 차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GM대우차는 올해 판매 목표를 사상 처음 `100만대 초과'로 잡고 있다. 옛 대우차 시절 최대 실적은 지난 99년의 91만8천대였으며 GM대우의 작년 실적(90만84대)은 대우차 시절까지 포함해 두번째로 많은 것이었다. (서울=연합뉴스) 한기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