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오피스·상가·토지

현대차 통큰 결단… '삼성동 개발' 105층으로 낮추고 공공성 강화

수정안 서울시 제출

높이 115층 571m서 526m로 계획 변경

컨벤션 건물 신설

공연장 면적 늘리고 하부는 개방형으로




서울 삼성동 옛 한국전력 부지를 사들인 현대차그룹이 이곳에 115층 건물을 짓기로 한 계획을 바꿔 건물 층수를 105층으로 낮추기로 했다. 대신 공연장 면적을 늘리고 공연장 하부는 개방형으로 하는 등 공공성은 강화한다.


서울시는 현대차그룹이 최근 한전부지에 들어설 현대차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부지 개발계획을 수정해 제출함에 따라 협상조정회의를 열어 개발계획 협상을 본격 추진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대차의 파격 제안, 층수 낮추고 공공성은 강화하고=현대차그룹은 앞서 지난 6월11일 사전협상 개발계획안을 제출했다. 서울시는 실무협의와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현대차그룹에 건축물의 공공성 강화와 교통계획 검토 등 보완을 요청했고 현대차는 9월24일 수정된 계획안을 다시 냈다.

수정안에 따르면 62층과 115층으로 나눠 건설하기로 했던 건물은 각각 51층(업무·숙박용)과 105층(글로벌타워)으로 층수가 낮춰진다. 이에 따라 건물의 최고 높이는 571m에서 526m로 낮아진다. 대신 3∼5층 규모 전시·컨벤션용 건물과 1∼3층 규모 전시용 건물이 새로 생긴다.

전시·컨벤션 시설은 저층부 위주로 배치하기로 했다. 기존 계획에서 5·6층과 지하층, 115층 등 여러 곳에 분산돼 있어 효율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공연장은 1만5,000㎡에서 2만2,000㎡로 늘리고 1,800석 규모의 다목적 공연장과 600석 규모의 챔버홀 2개로 만들기로 했다. 영동대로에 접한 공연장 하부는 개방형 '열린 건축물'로 계획했다.


진희선 도시재생본부장은 "건물 높이 조정은 현대차그룹 측에서 제안한 것"이라면서 "워낙 대규모 건물인 만큼 건물의 높이는 앞으로 다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현대차가 기존보다 층수를 낮춘 것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실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온 국민이 이 지역 개발계획에 대해 많은 관심을 나타내는 만큼 공공성을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발계획을 변경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일조 영향과 경관 부담을 줄임으로써 공공성을 강화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구와의 갈등, GBC 사업 지장 없어=강남구와의 갈등에 대해 진 본부장은 "강남구 측과 충분히 대화하겠지만 원만한 협의가 이뤄지지 못해도 사업 추진 일정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문제가 되는 변전소 이전에 대해 그는 "통상 변전소 공사는 본 공사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현대차가 공사기간을 줄이기 위해 미리 허가를 신청했던 것"이라며 "변전소 이전공사의 허가는 강남구 관할이지만 전체 건설공사는 서울시의 승인 사항이라 본공사와 함께 진행하면 문제없다"고 지적했다.

또 강남구 범구민비상대책위원회가 8월 서울행정법원에 제기한 소송에 대해서는 "현 시점에서 소송은 법원의 판단에 맡긴다는 입장"이라며 "내부적으로 하나하나 법률적인 검토를 거쳐 위법성이 전혀 없고 패소할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본 적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지방재정학회와 한국행정연구원이 '공공기여금을 나눠쓰는 것은 현행법 위반'이라는 의견을 낸 것에 대해서도 "시에 문의하거나 자료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내놓은 의견"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공공기여 총량은 사전협상이 끝난 뒤 개발계획을 반영한 감정평가를 통해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앞서 현대차는 약 1조7,030억원 규모의 공공기여를 제시했다. 서울시는 연내 사전협상을 마무리 짓고 2016년 말∼2017년 초 착공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