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건설 자구안 관련 정부·채권단 입장

현대건설 자구안 관련 정부·채권단 입장 `극단은 피하겠다. 하지만 시한은 10일 이전이다.' 현대건설 처리를 매듭짓기 위한 정부와 채권단의 결단이 조금씩 늦춰지고 있다. 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을 비롯한 정씨 일가의 `건설 살리기' 움직임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채권단은 그러나 여전히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6일 현대측의 갈팡질팡하는 모습에 실망스런 기색이 역력하다. 정제되지 않은 자구안을 남발할 경우 시장의 실망감만 부채질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예비적 수단으로 출자전환 동의서를 받아내겠다는 의지도 확고하다. 출자전환 동의서를 내지 않고 자구안도 충분치 못하면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은 불변이다. 그리고 이 모든 절차를 10일 이전에 끝내겠다고 공언했다. 이와 관련, 채권단은 6일 현대측에 요구사항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쾌하게 전달했다. 현대가 마련해야 할 자구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됐다. ▦정씨 가족들이 사재출자 형식으로 나서고 ▦우량계열사를 매각해 모회사(건설)를 살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그룹차원의 큰 카드'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입장이 자리하고 있다. ◇정부ㆍ채권단 최후통첩 속 특단자구 마련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6일 현대에 대한 강한 불만의 뜻을 표시했다. 그는 “막판에 몰린 마당에 계열 내에서조차 조율이 되지 않은 자구안을 발표하고 이를 한시간도 안돼 `협의되지 않은 일'로 뒤집는 게 말이 되느냐”고 말했다. 이런 식으로는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그러나 현대의 자구노력에 대한 미련은 버리지 않고 있다. 정기홍 금감원 부원장은 “현대가 큰 그림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른 고위 관계자는 현대가 해야 할 일을 두가지로 다시 압축했다. MH 가족들이 나설 것과 우량계열사 매각이 바로 그것. 정부는 이중 `가족해결'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근영 금감위원장이 전날 밝힌 대로 공정거래법과 주주반발을 불러일으키지 않으려면 가족(정세영 회장ㆍ정상영 회장ㆍ정몽준 회장)이 계열사가 아닌 개인차원에서 나서라는 주문도 던졌다. 가족들이 현대건설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든, 십시일반으로 유동성에 도움을 주든 택일하라는 것이다. 단 유동성 보완에 따른 차주는 현대건설이 아니라 MH 개인이 돼야 한다는 조건도 덧붙였다. 우량계열사 매각에 대해서는 양측이 모두 구체적으로는 얘기를 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채권단은 서산농장을 매각하거나 현대택배 등 작은 계열사를 파는 것만으로는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결국 매각대상회사로 떠오르는 게 현대엘리베이터와 현대전자 정도다. 김경림 외환은행장이 MH계열과 정몽준 회장 계열의 현대중공업까지 포함한 계열사 전체의 자구계획을 받기로 한 것도 같은 차원이다. ◇현대 스스로 살 시간은 8일, 이후엔 출자전환과 법정관리 중 택일 진념 재정경제부장관은 6일 “현대건설 문제를 이번주 내에 매듭짓겠다”고 밝혔다. 이를 반영하듯 채권단도 이날 예상보다 빠르게 현대측에 감자 및 출자전환 동의서를 보냈다. 현대측은 표면적으로 `일단 거부' 반응을 보였지만, 정부측에 전달된 공식 입장은 없다. 정부는 출자전환을 거부하려면 고강도 자구노력으로 채권단의 승인을 얻든, 부도로 법정관리로 가든 양자택일밖에 없다고 밝히고 있다. 자구노력이 미흡한 상황에서 정부가 예비적 수단으로 내놓은 출자전환마저 거부한다면 방법은 부도에 의한 법정관리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부와 채권단은 일단 7일 저녁까지는 기다려보겠다는 태도다. 채권단 고위 관계자는 “출자전환 동의서를 거부한다면 8일 확대채권단 회의 전까지는 채권단을 납득시킬 최종 자구노력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무리 늦어도 이번주 안에는 ▦독자회생을 하든 ▦출자전환을 하든 ▦법정관리를 하든 결판을 내겠다는 것이다. 입력시간 2000/11/07 08:11 ◀ 이전화면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