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초고성능 타이어, 안전을 위한 최종의 선택

한국타이어 '벤투스 S1 노블', 브리지스톤 'GR-90' 등 소음·진동 줄이고 성능 높여


브리지스톤은 지난달 태국 아유타야시 브리지스톤 프루빙그라운드(타이어 테스트 코스)에서 UHP 타이어 '투란자 GR-90' 신제품 발표를 가졌다. /사진제공=브리지스톤


신발이 불편하거나 닳아서 지면의 충격이 그대로 전해지면 우리의 몸은 쉽게 피곤해진다. 타이어는 자동차의 발. 자동차에서 실제 지면과 마찰하며 달리는 것이 타이어다. 어떤 타이어를 쓰느냐에 따라 자동차의 성능이 저하되기도 하거나 배가되기도 한다. 최근 국내외 완성차업체들은 소형차부터 대형차까지 마력과 토크를 높이는 고성능화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따라 국내외 타이어 업계가 블루오션으로 초고성능(UHP) 타이어를 주목하고 있다. UHP 타이어란 일반 타이어에 비해 폭이 넓고 사이드 월이 좁으며 고속주행 시 안정성이 강화되어 시속 300km에서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타이어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수입차와 스포츠카 등에서만 주로 사용됐지만 최근들어 일반 차량 대상으로 확대되면서 시장규모도 점차 커지고 있다. 타이어 업계는 국내 고성능 타이어 시장을 대략 1조원으로 파악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06년 이후 UHP 타이어의 비중이 20%를 넘어섰다고 추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불과 1~2년 전까지만 해도 타이어를 고르는 기준으로 내구성과 마모성을 꼽았지만 최근에는 고속주행성과 조종안전성, 승차감, 핸들링 등을 꼽을 정도로 소비자의 요구가 고급화 세분화됨에 따라 고성능 타이어가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UHP 타이어는 수입차 업체들이 제일 먼저 관심을 보이며 관련 마케팅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업체가 브리지스톤으로 국내 매출의 약 30% 가량이 UHP 타이어 인 만큼, 이 부문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현대차의 '제네시스 쿠페'내수 차량에 UHP 타이어 '포텐자 RE050'을 공급해 관심을 끌었다. 이 같은 추세를 몰아 브리지스톤은 최근 기존 'GR-80'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GR-90'을 선보였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 시장을 겨냥한 프리미엄 UHP 타이어다. 이 제품은 타이어와 지표면의 불규칙한 접촉을 최소화한 AC(접촉면 적응) 블록 기술과 일반 타이어에 있는 홈 사이에 나뭇가지 모양의 홈을 하나 더해 고속주행시 발생하는 파이프 공명음을 없앴다. 또 타이어 안쪽과 바깥쪽 벽면 모양을 다르게 설계해 직선 주행 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내구성도 향상시켰다. 타이어 전문가인 이호근 대덕대학 타이어공학과 교수는 "기존 제품들의 경우 모든 성능지표를 적당히 만족시키고 넓은 소비층을 겨냥한 반면 GR90의 경우는 필요 없는 부분을 과감히 버리고 목표 고객층이 선호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고 핸들링과 주행성능을 높이는 데 주력한 제품"이라고 평가했다. 경쟁업체인 미쉐린도 '파일럿 시리즈'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 가운데'파일럿 스포트 PS2'는 최고 300Km/h 속도로 달릴 수 있는 동급 타이어 중에서 가장 정숙성이 뛰어나며 정교한 핸들링과 안정적인 드라이빙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스포츠 타이어 라는 게 업체 측 설명. 이밖에 '파일럿 스포트'는 핸들링 성능과 승차감 향상에 집중했고 '파일럿 프리시다'는 정교한 코너링과 안정성 제공에 주력했다. 한국타이어의 UHP 매출은 지난해 4,160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12%를 차지했다. 대표적인 제품인'벤투스 S1 노블'은 럭셔리 세단을 위한 프리미엄 타이어에 UHP 타이어를 접목시킨 신개념 타이어. 회사측은 노면 제동거리 단축과 소음감소를 비롯해 진동 컨트롤 기술을 통해 진동 흡수 능력을 향상시켜 기존의 UHP 타이어에선 볼 수 없었던 최고의 승차감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에쿠스, 그랜저부터 포르쉐 911, 아우디 TT, 마세라티 스파이더까지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다. 최근 가장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 넥센타이어는'N7000'으로 UHP 타이어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이 제품은 차량의 고성능화 추세와 사계절 변화가 뚜렷한 한국의 지형과 기후특성, 운전습관을 다각도로 고려한 제품. 제동 성능이 기존 제품 대비 대폭 향상 됐고, 빗길에서의 배수성이 우수하여 조종 안전성이 탁월하다는 평이다. 소비자의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 디자인을 차별화 하면서 세련된 패턴 디자인이 돋보여 '대한민국GOOD DESIGN'상도 수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