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시민 10명중 3명 "노후 생활자금 준비못해"

40세 이상 서울시민 10명 가운데 3명은 노후생활자금 준비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의 평균 수명이 80.4세(남성 77.15세, 여성 83.26세), 근로자 평균 정년이 56.8세인 것을 감안하면 20년 이상 살아가는 데 필요한 노후자금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서울시는 19일 ‘2006년 서울서베이’ 노후준비 관련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2006 서울서베이는 서울시 2만 표본가구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가구원 전체(약 4만8,000명)를 대상으로 지난해 10월 한 달간 실시됐다. 서울서베이에 따르면 40세 이상 서울시민 중 66.1%는 본인의 노후생활자금 마련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나머지(33.9%)는 노후준비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0세 이상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시민 중 32.4%는 ‘공적연금과 별도 개인 노후대책’을 함께 준비하고 있으며 25.7%는 ‘개인 노후대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8%만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노후준비 방법으로는 공적연금(61.1%)과 보험(60.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은행저축(44.8%), 개인연금(26.4%) 등의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은 공적연금(70.7%)을, 여성은 보험(61.9%)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노후준비율을 보면 40대가 77.5%로 가장 높았으며 50대는 72.7%, 60세 이상은 44.5%였다. 가구소득별로 보면 소득이 400만원 이상인 가구는 노후준비율이 83.4%로 높았으나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26.2%만이 노후준비를 하고 있어 저소득 계층의 노후준비가 부족한 실정인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