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응징돼야 할 민간인 살해 만행

이라크 무장 테러단체가 피랍된 김선일씨를 끝내 살해한 것은 용서할 수 없는 만행이다. 아무런 무장이나 적대의사도 없는 민간인을 납치해 자신들의 목적 달성을 위해 이용하고는 무참하게 살해한 것은 어떤 이유로도 용서받을 수 없는 반인륜적인 행위이다. 22일 한때 김씨가 생존해 있으며 석방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생환가능성이 점쳐지던 중에 날아온 비보라는 점에서 가족과 온 국민의 가슴을 더욱 아프게 한다. 김씨의 무고한 죽음을 애도하며 가족들에게 심심한 조의를 표한다. 김씨를 납치한 테러단체는 김씨를 앞세워 한국의 이라크 파병 철회를 요구함으로써 납치살해의 목적을 분명히 드러냈다. 그러나 노무현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강조했듯이 테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 결코 테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하게 해서도 안 된다. 범인들은 이점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다. 지금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사건의 재발방지다. 정부에서도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어 대책을 마련 중에 있지만 공무원과 민간인을 포함해 테러집단에 대한 우리국민의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라크 주재 공관원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기업인과 현지 교민의 경우 가급적 조기 철수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한가지 지적할 것은 정부의 유사사태에 대한 협상력과 정보 수집력의 강화문제다. 이번에 정부가 나름대로 협상에 나섰다고는 하지만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해 여러 의문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국내에서는 이라크 추가파병 문제와 관련한 찬반논란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특히 일부 정치권과 시민 단체들을 중심으로 파병반대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부는 파병원칙을 재확인하고 예정대로 파병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파병 목적이 이라크의 재건을 돕는 것이기 때문에 파병계획을 철회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루속히 무장 테러조직을 소탕하고 이라크에 평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태는 것이 김씨의 피살에 따른 비통한 마음을 달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한가지 유념할 일은 김씨의 죽음도 억울한 터에 이것이 파병찬반을 둘러싼 내부분열의 빌미가 돼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