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현지시간)부터 오는 21일까지 미국을 방문하는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은 새로운 국제질서에 큰 영향을 줄 '세기의 회담'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1971년 헨리 키신저 미 국가안보보좌관의 중국방문으로 해빙의 물꼬를 튼 지 40년 만에 열리는 이번 정상회담은 글로벌 경제 안보 등의 방향설정과 북핵 문제 해결 등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 기대가 크다.
후 주석의 미국방문은 중국이 G2로 부상한 후 처음이라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미국은 글로벌 경제 및 안보질서를 좌우하는 유일한 슈퍼파워였으나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중국이 경제 및 군사적 대국으로 급부상하면서 G2시대에 들어서게 됐다. 세계경제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양국의 '공존과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 된 것이다. 특히 북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안정과 평화에 있어 양국의 역할은 거의 절대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북한 문제, 위안화 절상, 인권 문제, 무역불균형 및 불공정 해소 등이 우선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한 문제는 양국관계를 가늠하는 방향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은 연평도 포격 등에 대해 북한을 일방적으로 비호해왔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계속 이런 자세를 유지한다면 기대는 실망으로 변할 것이다.
후 주석이 북한의 진정성을 담보로 한 북핵 등의 해결책을 제시할지 주목된다. 무조건 6자회담 재개 등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는 것은 문제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국과 미국은 연평도 포격 등에 대한 북한의 사과를 남북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북한은 이에 대해서는 침묵한 채 평화공세를 펼치고 있다. 북한의 이 같은 뻔뻔스러운 태도는 중국의 일방적 비호 때문이라는 점에서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북핵 문제의 돌파구는 물론 남북 간 군사적 긴장관계를 해소하고 대화와 교류를 재개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정상회담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는 군사적 도발에 대한 북한의 사과가 전제돼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정부는 미중 정상회담 이후 예상되는 남북관계 등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