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언론도 "일본 군국주의화" 비판

NYT·WSJ 등 "경제 살리기나 하라" 충고

미국 주요 언론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노골적인 군국주의 움직임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24일 뉴욕타임스(NYT)는 '일본의 불필요한 군국주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일본 국회의원 야스쿠니 신사 참배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사설은 지난해 12월 아베 총리가 취임 이후 ▲일본 경제의 부활 ▲북한 문제 등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힘겨운 싸움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현안과 관련 없는 일로 예기치 않은 논란을 아베 총리와 자민당이 자초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사설은 북한의 핵미사일 발사 문제에 주변국이 서로 협력해 대처해야 할 시기에 일본이 중국과 한국에 대해 적대감정을 조장하는 것은 무모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가 주변국이 겪은 역사적 상처를 헤집을 것이 아니라 장기침체에 빠진 일본 경제를 부활시키고 민주국가로서의 역할을 증대시키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관련기사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아베 총리가 집권 초기 경제 문제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최근 정책 초점이 일본의 침략 역사를 부정하는 데 맞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의 집권 여당인 자민당이 중국과의 센카쿠 열도 영토분쟁과 북한의 위협 등 지역적 긴장 상황을 국민이 군사력 강화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계기로 삼으려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아베 총리가 일본이 2차 대전에 패배한 뒤 1946년 공포한 헌법 9조를 개정하려는 데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헌법 9조는 일본의 군대 보유와 교전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세계대전을 일으킨 일본의 군사력 강화를 막는 역할을 하고 있다. WSJ는 아베 총리가 헌법 9조 개정이 한국과 중국은 물론 일본 내 진보진영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최근 우회 전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베 총리는 헌법 9조를 위해 헌법 개정 조건을 담은 헌법 96조를 먼저 개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WSJ는 NHK가 이달 초 여론조사 결과 28%만 헌법 96조 개헌에 찬성했고 아사히신문 조사에서도 6%만 헌법 개정에 동의했다며 일본 국민이 헌법 개정 필요성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