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행복하지 않아요"… 성인들 행복지수 낙제점

행복 조건은 건강·돈順

우리나라 성인들은 자신의 '행복 점수'를 낙제점에 가까운 68.1점(100점 만점 기준)으로 매겼다. 더 행복해지기 위한 조건으로 여성은 건강을, 남성은 돈을 제시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제42회 정신건강의 날을 앞두고 전국의 성인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복과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자신의 행복상태 점수를 90점 이상으로 높게 제시한 응답비율은 15.2%에 불과했고 80~89점은 24.7%, 70~79점은 21.6%, 60~69점 9.5%, 50~59점 21.5%, 50점 미만은 7.6%였다. 응답자들은 또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기 위한 조건으로 건강(32.7%)과 돈(31.8%)을 꼽았다. 특히 여성은 건강(37.1%)을, 남성은 돈(33.0%)을 행복의 조건으로 우선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일상생활 중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26.2%가 '아주 많이(5.1%)' 또는 '많이(21.2%)' 받는다고 답했다. 성인 4명 가운데 1명은 평소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다는 뜻이다. 반면 스트레스가 '적거나 거의 없다'는 응답비율은 32.3%였다.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직업 문제(25.8%), 경제적 문제(21.5%), 인간관계(12.4%), 본인의 건강 문제(9.4%), 부모 및 자녀 문제(9.1%) 등이 꼽혔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예민∙분노(25.7%), 피로감(17.0%), 불편(9.2%), 우울∙슬픔(9.2%), 두통(8.8%) 순이었다. 스트레스를 해소할 때 함께하는 사람을 묻는 질문에는 '혼자 해소한다'는 응답비율이 48.3%로 가장 높았다. '친구(선후배∙동료)와 함께 푼다'는 응답비율은 34.6%, 가족은 14.2%, 연인은 2.4%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