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고흥길 輿정책위장 사퇴… '서민예산 누락' 조기수습 고육책

예산안 처리 후폭풍… <br>野 "꼬리 자르기" 공세… 여론 되돌릴지 미지수<br>후임엔 중립성향 3선의원 유력… 권영세등 거론


고흥길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이 12일 전격 사퇴의사를 밝힌 것은 새해 예산안 강행처리의 후폭풍을 조기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 정책위의장의 사퇴는 예산안 강행처리 과정에서 일부 '서민예산'이 누락됐다는 지적이 제기돼 당내에서 책임자 문책론이 나온 지 이틀 만이다. ◇'예산파동' 조기 수습 고육책=특히 이명박 대통령 친형 이상득 의원과 관련된 '형님예산'이 대거 증액예산에 반영됐다는 주장까지 흘러나오고 민주당 등 야권이 이를 정치 쟁점화하는 등 예산안 처리를 둘러싼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면서 여권 내 논란의 수습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파문이 더 커질 경우 예산안을 강행 처리하면서 정권 실세들끼리 예산을 나눠먹기 했다는 야권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되고 이게 임기 후반기에 들어선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 정책위의장의 사퇴가 당 안팎의 비난여론을 돌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당장 야당은 고 정책위의장의 사퇴를 '꼬리 자르기'라며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고 정책위의장의 사퇴에 대해 "여당은 물러갈 사람과 안 물러갈 사람을 구분도 못 하는 것 같다"며 "책임질 사람이 책임져야지, 손으로 하늘을 가리려 하면 안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전현희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날치기 사태의 '몸통'인 박희태 의장과 정의화 부의장, 안상수 대표, 김무성 원내대표, 이주영 예결위원장이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후임은 중립성향 3선 유력=한나라당의 새 정책위의장 후임으로는 중립성향의 3선 의원이 유력하다. 집권당 정책위의장은 청와대ㆍ정부와 정책조율이 필요한 자리인데다 이명박 정부 임기 후반기 당 우위의 당정관계를 실현하려면 무게감이 실리는 3선의 중진이 맡아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고 정책위의장 사퇴의 직접적인 배경이 '서민예산' 논란 확산 차단이라는 점도 후임 인선의 고려사항이다. 강행 처리된 새해 예산안에서 일부 서민예산이 누락됐고 이 과정에 여권 주류 또는 실세의 힘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주류 측이 다시 정책위의장을 맡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서울 지역구(영등포을) 출신으로 계파색이 옅고 개혁성향을 보인 권영세 의원이 주목된다. 당 사무총장ㆍ최고위원 등을 지낸 권 의원은 검사출신의 3선 의원으로 국회 정무위ㆍ외교통상통일위 등 거쳐 현재 기획재정위 위원으로 활동, 정책역량을 발휘해왔다. 다만 권 의원은 지난 8월부터 국회 정보위원장을 맡고 있는 점이 인선의 부담요인이다. 권 의원이 원희룡 사무총장에 이어 새 정책위의장을 맡게 될 경우 당내 개혁세력이 당 전면에 서게 돼 개혁파의 목소리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권 의원 외에 친이명박계 이병석 의원과 친박근혜계 이인기ㆍ정갑윤 의원 등 3선 의원이 꼽힌다. 그러나 이병석 의원의 경우 경북 포항 출신 '영포라인'으로 분류되고 이 대통령의 영흥초등학교ㆍ동지상고ㆍ고려대 후배라는 점이 걸림돌이다. 재선의원으로는 중립성향의 이종구ㆍ진영 의원 등이 거론되며 초선의원 중에서는 대통령실 정책실장을 지냈고 충청몫 당 임명직 최고위원 후보였던 윤진식 의원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하지만 이종구 의원은 강행처리 예산안 마련의 책임이 있는 국회 예결위 당 간사였고 진 의원은 정책능력에 대해 아직 검증을 받지 않아 회의론도 나온다. 윤 의원은 이 대통령 직계인데다 초선이어서 당내 반대가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