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인 65% 건강 위험인자 한개 이상 보유

지방간·콜레스테롤·복부비만 등 세개 이상 갖고있는 사람도 18%

우리나라 성인 세명 가운데 두명꼴로 지방간이나 콜레스테롤ㆍ복부비만 등의 건강위험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토대로 20세 이상의 성인 3,687만명 가운데 만성질환 위험인자를 보유한 인구를 분석 추계한 결과 건강위험요인을 한 가지 이상 보유한 인구가 65.9%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조사 대상 가운데 2,429만명의 성인이 복부비만(남성 90㎝, 여성 85㎝ 이상의 허리둘레)이나 고혈압 전 단계, 공복혈당장애, 40㎎/dl 미만의 저HDL 콜레스테롤, 200㎎/dl 이상의 고중성지방혈증 중 한가지 이상의 건강위험요인을 지니고 있는 셈이다. 특히 다섯 가지 건강위험요인 중 3가지 이상을 보유한 사람도 693만명으로 18.8%에 달했다. 이들은 당뇨병ㆍ동맥경화 등 의료비 부담이 큰 만성질환자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미리 운동ㆍ식이요법ㆍ금연ㆍ절주 등을 통한 건강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혈압ㆍ혈당ㆍ중성지방 등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사전에 적절하게 관리하기만 하면 만성질환이나 암ㆍ심뇌혈관질환 등 중증질환의 예방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하고 있다. 특히 건강은 개인의 생활습관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체계의 도입 필요성도 제기된다. 미국 위스콘신주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인간의 건강을 결정하는 요인은 생활습관 등 건강행태 40%, 사회경제적 요인 40%, 환경 10%, 보건의료 접근성 10% 순으로 나타났다. 최희주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병들고 아픈 다음에 치료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건강이 나빠지기 전부터 건강을 챙기고 질병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건강보험 재정과 경제성장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는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생활습관 개선 등을 위한 상담과 교육을 제공하고 개인 맞춤형 영양ㆍ운동 프로그램을 설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서비스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