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전문가 반응 "北, 급격한 노선변화 없을것"

[北 김정은 후계 공식화]<br>당분간 후계체제 안정까진 선군정치 그대로 유지할듯

김정은의 등장이 북한의 핵이나 개혁ㆍ개방 노선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제3차 당대표자회 개최 이전부터 관심을 끌었던 사안이다. 하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노동당 총비서로 다시 추대된 것이나 김정은이 군의 '대장'으로 등극하면서 당장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남광규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는 "후계자 김정은에게 첫 공식직함으로 인민군 대장 칭호를 부여해 본적으로는 김 위원장의 선군 노선을 유지할 것으로 보여 향후 북한사회의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도 김정일 체제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다. 북한 조선중앙TV와 조선중앙방송은 28일 오후2시에 "조선노동당 대표자회는 온 나라 전체 당원과 인민군 장병, 인민의 한결같은 의사와 염원을 담아 김정일 동지를 조선노동당 총비서로 높이 추대하였음을 내외에 엄숙히 선언했다"고 밝혔다. 안정적인 후계구도의 마련 등 여러 포석이 깔려 있지만 당장의 급격한 노선 변화보다는 핵이나 개혁ㆍ개방에 대한 현재의 노선을 그대로 유지해 변화에 따른 혼란을 없애겠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김정은의 후계승계 공식화 이후에도 김 위원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노선 결정을 단독으로 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이 같은 전망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또 김정은에게 군의 '대장'자리를 먼저 맡긴 것 역시 김 위원장의 국정지표인 '선군정치'를 그대로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함께 북한이 내부결속에 주력해야 한다는 점도 급격한 변화를 꾀하지 않을 것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은 후계체제 안정을 위해서라도 김정은 주도로 주민들의 먹는 문제 해결과 주민 동원ㆍ통제를 강화할 것"이라며 "당분간 후계체제 안정화까지는 대남ㆍ대외정책 등의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후계구도가 공고화된 후에는 대외정책 등의 변화도 예견된다. 후계자인 김정은 역시 내세울 만한 실적이 필요한데 대외정책 등의 노선 변화를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 또 최근 북한이 핵 협상과 대미외교를 도맡아온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을 부총리에 임명한 것은 대외관계 개선과 협력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양 교수는 "후계체계가 어느 정도 안정화되면 북한은 나름대로 후계자의 치적이 필요한 만큼 대남 라인 정비 등 남북관계나 대외정책에 나름대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