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자율운항 무인잠수정 개발한다

수심 100m 침몰선박 탐색 가능

수심 100m의 바다에서 침몰선박을 탐색하거나 수중오염 실태를 조사할 수 있는 자율운항 무인잠수정이 개발된다. 국토해양부는 위치인식 기능으로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해저를 탐사할 수 있는 '천해용 자율무인잠수정'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직경 0.2m, 길이 1.58m, 중량 38㎏의 이 잠수정은 본체에 부착된 센서기로 해저에서 자체 판단과 자기 위치인식에 따라 스스로 운항하며 임수를 수행한다. 무선으로 원격 조종도 할 수 있다. 해저자원탐사, 연근해의 수중오염조사, 정밀 해저지형도 작성, 어장감시, 해저침몰체 탐색 등 해양탐사 및 수중관측 분야뿐 아니라 주요 항만의 해저 정찰ㆍ수색, 연안감시, 기뢰형 능동어뢰 시스템 응용 등 해양방위산업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7년부터 국가연구개발 사업으로 자율무인잠수정 개발을 추진해왔다. 미국ㆍ영국ㆍ러시아 등 자율무인잠수정을 판매해온 국가들이 핵심기술 이전을 거부해왔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오는 6월 초까지 자율무인잠수정 기술을 이전할 국내기업을 선정한 뒤 본격적인 상용화에 착수할 방침이다. 한편 국토부는 수중 6,000m까지 탐사가 가능한 '심해용 자율무인잠수정' 기술을 내년 상반기까지 개발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