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약칭 '상인공단'으로 정하고 '쉬쉬'

'소공인은 지원 않나' 우려에 정식 약칭 못밝히며 속앓이

소공인특화자금 집행권 놓고 중진공과 힘겨루기도 영향

지난 1월 소상공인 육성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출범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공식 약칭을 상인공단으로 정해 놓고도 사용하지 못한 채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내부회의와 외부공모, 전문가 의견을 취합해 약칭을 '상인공단'으로 정했다. '소상공단'과 '상인공단'이 마지막까지 후보로 남아 경합을 펼쳤지만 결국 '소(小)'라는 단어에 집착하지 말자는 견해를 반영해 '상인공단'으로 최종 확정했다는 후문이다. 상인공단 관계자는 "상인의 넓은 의미가 소공인을 포함하는 제조업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상인공단으로 약칭을 정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상인공단은 정식 약칭을 외부에 밝히지 못하고 있다. 자칫 상인 외에 소공인 지원을 하지 않는 것처럼 비춰질 수 있다는 우려 탓이다. 정확히 말하면 현재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집행하고 있는 3,000억원 규모의 소공인특화자금의 상인공단 이관에 지장을 줄까봐서다.

관련기사



내년부터 상인공단은 이 자금을 가져와 직접 소공인들에게 융자를 해줄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반면 중진공은 현행처럼 그대로 집행하기를 원하고 있다. 중진공 관계자는 "소상공인진흥기금에 속한 소공인특화자금을 누가 집행하느냐를 두고 아직 논의를 진행 중"이라 "직접대출로 진행해 온 소공인특화자금을 상인공단에서 할 수 있는 여력이 되는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소공인특화자금은 10인 미만 영세한 제조업체가 대상이다. 상인공단 관계자는 "상인공단으로 약칭을 사용할 경우 자칫 소공인들이 소외되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가 있다"며 "소공인특화자금 예산 이관을 놓고 중진공과 힘겨루기 중인데 상인공단 약칭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인공단으로 약칭을 정한 데는 일부에서 사용 중인 '소진공'이란 약칭에 대한 내부 조직원들의 반감도 반영됐다. 같은 중소기업청 산하기관임에도 '소진공'을 중진공의 하부 조직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중소기업청의 산하기관은 총 7개로 준정부기관인 중진공, 상인공단, 중소기업기술진흥원과 창업진흥원 등 4개의 기타공공기관이 포함돼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