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가전업계 '계량단위' 변경비상

소비자 TV·모니터등 ‘인치-㎝’ 혼란 우려…업체들도 마케팅 전략수정·비용부담 고심

‘40형 TV→102㎝ TV, 42형 TV→107㎝ TV.’ 정부의 법정계량 단위 의무화 방침이 소비자 혼란을 가중시키고 가전업계에 막대한 비용부담을 떠안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ㆍLG전자 등 가전업체들은 산업자원부의 계량단위 변경에 따라 인치 단위를 기준으로 진행해왔던 기존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을 전면 수정하느라 비상이 걸렸다. 당장 8개월 만에 각종 홍보물이나 제품설명서를 일일이 뜯어고치고 소비자들을 처음부터 새롭게 교육하는 게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가전업계는 그동안 광고나 브로슈어 등에 인치를 사용하거나, 인치 개념의 ‘OO형’과 ㎝를 함께 표기해왔다. TV의 경우 인치 기준 숫자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단위는 업계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형’을 사용해 ‘40형 TV’ ‘42형 TV’ 등으로 표기했던 것. 업계에서는 TV나 모니터의 경우 소비자들이 워낙 인치 단위에 익숙해 ㎝ 단위로 인식을 변화시키기가 현실적으로 어렵고, 새로운 단위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려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쏟아부어야 한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TV와 모니터 사업은 수십년간 인치 단위를 기준으로 성장해왔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인식을 단기간에 바꾸기가 어렵다”며 “새로운 단위 채택으로 발생하는 막대한 홍보ㆍ마케팅 비용만 기업이 짊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기존에 인치와 ㎝를 병행표기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이미 인치를 ㎝로 환산하는 과정에 익숙하다”며 “각 산업별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일괄적으로 법정계량 단위를 적용하는 것은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산자부는 이 같은 업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표준계량 단위를 철저하게 현장에 적용시킨다는 방침을 세우고 강력한 단속을 벌일 방침이다. 김판수 산자부 표준품질팀 사무관은 “예외조항을 둘 경우 제도정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공평하게 법을 적용할 것이며 산업별로 실효성 있는 제재수단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