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앙부처·지자체 직원들 '잡셰어링' 잇단 동참

"공무원이 봉이냐" 불만 확산


잡셰어링을 위해 월급 일부를 반납하는 움직임이 대기업에서 공직 사회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직장인과 공무원의 일방적인 희생만 강요하는 전시행정이라는 불만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26일 각 중앙부처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소외계층 지원을 위해 소속 공무원 3,200여명 가운데 5급 이상 1,000여명 보수의 1~5%를 자율적으로 반납키로 했다. 구체적인 반납률은 실장급이 연봉의 3~5%, 국장급이 2~4%, 과장급이 1~3%, 사무관 이상이 1~2%며 이렇게 해서 모이는 반납금은 약 5,6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보건복지가족부도 연말까지 실장은 월급의 5%, 국장은 3%, 과장급은 2% 범위에서 기부하도록 해 소외계층 지원에 사용하기로 했으며 사무관 이하 공무원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 환경부ㆍ노동부 등은 보수를 반납할 직원의 범위와 반납 절차 등 구체적이 내용은 정하지 않았지만 반납을 검토중이며 금융위원회 관계자도 "반납을 조만간 검토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행정부내 장ㆍ차관급 이상 정무직 공무원 약 280명은 지난 19일 열린 차관회의에서 앞으로 1년간 봉급의 10%를 떼어 소외계층을 돕기로 한 바 있다. 이 같은 고통 분담 움직임은 공무원 뿐만 아니라 지자체 등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직원들의 봉급 일부를 기부 받고 업무추진비와 경상경비 등을 절약해 조성되는 100억원 규모의 재원으로 청년 일자리 1,000개를 창출하기로 했다. 또 부산시는 5급 이상 공무원 급여의 1~3%를 반납 받고 해외시찰 경비 등을 삭감해 마련된 35억원을 일자리 나누기에 사용하기로 했으며, 인천시는 5급 이상 공무원 급여의 일부를 떼어내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일부 공무원들은 "공무원이 봉이냐"라며 반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 중앙 부처의 공무원은 "물가를 감안하면 임금이 이미 삭감된 상황인데 또 삭감을 하라는 게 말이 되냐"며 "해당 공무원에게 의사를 물어보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전국공무원노조도 전일 성명을 내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자율반납이라는 명목 하에 반강제적으로 임금삭감을 강행할 경우 모든 수단을 강구해 총력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