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술무역 적자 "여전하네"

지난해 29억弗…휴대폰등 로열티 적자가 20억弗 육박


지난해 특허와 상표ㆍ기술정보 등은 21억7,000만달러 규모를 수출한 데 반해 51억300만달러어치를 수입해 29억2,500만달러의 기술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이 같은 무역적자는 휴대폰 등 첨단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로열티 적자가 한해 20억달러에 육박하는 데 따른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산업기술진흥협회는 27일 기술수출기관 1,844개와 기술도입기관 2,585개를 대상으로 ▦특허(로열티) ▦상표ㆍ실용신안ㆍ디자인 ▦기술정보 ▦기술서비스 등의 국가 간 거래를 분석한 기술무역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07년 기술수출은 전년도보다 14.9% 증가한 21억7,8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기술도입은 51억300만달러로 전년도보다 5.5% 늘었다. 기술무역 적자는 29억2,500만달러로 2006년 29억4,100만달러보다 소폭 줄었다. 기술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줄어든 것은 2001년 기술무역통계조사가 정부 승인통계로 지정된 후 처음이다. 산업별로는 전기전자 분야의 기술 수출과 수입이 각각 14억830만달러와 25억9,740만달러로 전체 수출과 수입의 64.7%와 50.9%를 차지했으며 11억8,910만달러의 적자를 나타냈다. 이는 미국ㆍ일본 등에서 휴대폰ㆍ컴퓨터ㆍLCD 관련 기술을 수입하면서 적자규모가 커진 것이다. 기계 분야 수출과 수입도 각각 4억5,930만달러(21.1%), 9억9,900만달러(19.6%)로 5억3,97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기술무역 상대국은 수출에서는 중국(36.6%)과 미국(25.1%)이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했고 기술도입은 미국(59.8%)과 일본(11.8%)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중국과 인도네시아ㆍ인도 등에는 흑자를 기록했으나 미국과 일본ㆍ프랑스 등에는 적자를 기록했으며 미국에 대한 적자규모가 25억370만달러로 전체 수지 적자에서 85.6%를 차지했다. 교과부는 “과학기술 577전략에 따라 오는 2012년까지 정부 연구개발(R&D) 투자 중 기초원천연구 비중을 50%로 높일 계획”이며 “기술무역적자를 줄이는 데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