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EBS 수능방송 '쌍방향 강의' 도입

7월부터 인기강좌 학교현장서 녹화<br>현직교사도 프로그램·교재제작 참여

EBS 수능방송이 프로그램과 교재 제작에 현직교사들이 참여하고 인기강좌는 학교현장에서 프로그램을 녹화 방영하는 ‘쌍방향 공개강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EBS 수능강의 방식이 너무 단조롭고 내용도 미흡하다는 수험생들의 불만 여론을 반영한 것이다. 또 인터넷 강의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 현재 300Kbps로 전송하는 동영상 가운데 일부 인기강좌는 500Kbps로 전송속도도 높이기로 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의 EBS 수능강의 보완대책을 마련, 발표했다. 보완대책에 따르면 강사 1명이 50분간 강의하는 프로그램 진행방식이 지루하다는 지적에 따라 이르면 오는 7월부터 인기강좌의 경우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을 상대로 수업하고 질문도 받는 ‘쌍방향 공개강의’ 방식으로 제작된다. 또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해 시행한 EBS 수능강의의 교재구입 비용이 너무 과다하다는 지적에 따라 초ㆍ중ㆍ고급 교재를 한데 묶어 종류와 수를 줄이기로 했으며 교재 가격도 5~10% 정도 인하해주기로 했다. 일부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인터넷 수능강의의 화질개선을 위해 전송속도를 일단 300Kbps를 유지하되 수험생들이 몰리는 인기강좌는 500Kbps의 고화질로 제공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EBS 수능강의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전국의 시도교육청으로부터 28명의 현장교사를 추천받아 올 하반기부터 프로그램 제작과 교재개발 과정에 참여시키기로 했다. 서범석 교육부 차관은 “일부 단체와 언론의 문제점 제기로 EBS 수능강의의 실효성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부각돼 학생과 학부모들이 다소 불안해하고 있다”며 “시행 한달 만에 정책 자체를 평가하는 것은 시기상조인 만큼 앞으로도 꾸준히 보완대책을 마련해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