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서울시 '공무원 임대주택' 재테크 쏠쏠

市, 2년간 42채 매입<br>행당·이문동 아파트등<br>시세 1억원 이상 올라


서울시가 무주택 공무원들에게 저렴한 전세금을 받고 임대하기 위해 매입한 '공무원 임대주택' 가격이 매입가보다 크게 올라 재테크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서울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시는 무주택 공무원들에게 임대하기 위해 매입한 국민주택 규모의 아파트는 전체 42개에 달하고 이 중 서울 성동구 행당동의 아파트는 매입가보다 1억원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공무원 임대주택제도는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됐으며 시는 이후 2년 동안 총 42개의 아파트를 매입했다. 시는 이 아파트를 시중 전세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에 시 공무원들에게 최장 5년 동안 임대해주고 있다. 이들 임대주택 시세는 5년여의 시간이 지나면서 크게 올랐다. 행당동의 행당대림 82㎡형은 시가 2억4,000만원에 매입했지만 현재는 3억6,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또 2억1,000만여원에 매입한 성동구 금호1가의 벽산아파트 85㎡형은 현재 3억2,000만원에, 2억3,000만원에 사들인 양천구 목동 금호베스트빌 76㎡형은 3억7,00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동대문구 이문동의 이문e편한세상 79㎡형의 경우 2억3,500만원에 매입했지만 현재는 3억4,000만원이고 성북구 길음동 동부센트레빌 80㎡형은 매입가 2억원이었지만 시세는 2억7,000만원선이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국민주택 규모의 공무원 임대아파트용으로 주로 강북 지역에서 아파트를 매입했다"며 "주변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시가 보유한 아파트 가격도 덩달아 올랐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만일 시 소유의 아파트를 매각하게 되면 매각대금은 전액 서울시 예산으로 편입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임대주택을 더 이상 매입하지 않고 현재 운영 중인 42개 아파트만 활용할 계획이다. 무주택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임대주택을 제공하는 대신 전세자금을 대출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