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방기업 수도권 U턴 속출

열악한 영업환경에 벤처·서비스업체등 脫지방 가속화수도권지역 공장총량제 완화를 놓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자체가 마찰을 빚고 있는 가운데 지방기업들의 '탈지방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어렵게 내려온 기업들이 현지에서 자금조달이 어렵고 인력수급마저 차질을 빚자 수도권지역으로 다시 되돌아가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높다. ◇자금, 인력, 부지난이 가장 커 전자 부품생산업체인 K사는 지난 98년 공장을 경기도에서 경북 구미로 옮겼다. 주요 납품처가 있는 곳에 공장을 이전하면 물류비용이 절감되고 공장총량제로 신규 공장 진입을 억제하는 수도권지역에 비해 부지가 저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K사는 최근 다시 수도권으로 되돌아갔다. 인력난도 문제지만 정작 중요한 자금조달이 벽에 부딪혔기 때문. 지방으로 본사를 옮기자 기존 거래은행들이 내부규정을 내세워 대출 한도액을 잇따라 하향 조정했다. 신규 거래 은행들은 서울 본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며 까다로운 서류와 절차를 요구해 대출 소요기간이 예전보다 3개월이상 더 걸렸다. 사장 P씨는 "서울 본점을 통하면 10억원정도는 간단한 서류심사로 대출승인이 났지만 지방이전후 3억원을 대출받는데 실사까지 받고 서류보완도 5차례나 요구받았다"고 실토했다. 경기도 수원의 H전자는 종업원 70명과 사장이 오랜 토론끝에 원청업체가 있는 울산공단으로 공장을 이전키로 하고 지난해 4월부터 부지 물색에 나섰으나 결국 포기했다. ◇지방전입은 줄고 전출은 늘어 이 같은 지방기업들의 '탈지방'현상은 갈수록 가속도가 붙고 있다. 업종도 제조업에서 벤처기업, 서비스업체로 확산되고 있다. 벤처기업이 몰려있는 대전지역의 경우 지난 99년 하반기 이후 41개 벤처기업이 수도권에서 대전으로 이전, 벤처메카로서의 위상을 실감케 했으나 지금까지 20여개 업체가 서울 등 수도권으로 이전했다. 부산지역도 올들어 수도권에서 이전해 온 업체가 13개사인 반면 수도권으로 떠난 업체는 2배가량 많은 25개사에 달한다. 그나마 옮겨 온 업체도 대부분 서비스업체여서 실속이 없다. 광주는 지난 99년 8월 수도권기업 지방이전 촉진대책이 발표된 이후 1곳만 이전했고 전남도는 아예 1곳도 없으며 울산도 지역에 연고를 두면서 수도권지역에 공장이나 본사를 두고 있는 64개사중 3개사만이 울산으로 본사나 공장을 이전한 상태다. 지자체관계자들은 "지방기업들의 탈지방화는 수도권 공장총량제 완화보다 금융 등 열악한 지역 기업영업환경이 근본원인"이라며 "서울 본점은행의 지방이전 등 특단의 조치가 없는 한 수도권집중화는 심화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광수기자 박희윤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