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 체감경기 석달째 호전

제조업체의 체감경기가 지난 달 까지 3개월째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 그러나 11월 전망은 지난달에 비해 다소 악화돼 기업들이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은행이 2,498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조사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업황실사지수(BSI)는 79로 9월의 71에 비해서는 다소 호전됐으나 여전히 기준치인 100에는 크게 못 미쳤다. 제조업업황BSI는 7월 65, 8월 67에 이어 3개월째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BSI가 100을 넘으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나쁘게 보는 기업보다 많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매출증가율BSI(9월 74→10월 78)와 가동률BSI(80→86), 채산성BSI(79→80), 자금사정BSI(81→84)도 약간씩 개선됐다. 하지만 제조업의 생산설비수준BSI(9월 107→10월 106)와 설비투자실행BSI(89→89)는 전월과 비슷해 기업들이 투자를 여전히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월의 제조업업황전망BSI도 83에 그쳐 9월에 조사한 10월 전망치 87에서 후퇴했고 매출증가율 전망 BSI는 88에서 84로 밀리는 등 기업들이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했다. 가동률전망BSI(10월 전망 91→11월 전망 88)와 채산성전망BSI(85→82), 설비투자실행전망BSI(91→89), 생산설비수준전망BSI(106→106)는 다소 나빠지거나 제자리 걸음이었다. 한국은행은 조사시점이 재신임 정국, 한진중공업 노조위원장 자살, 환율급등락 등으로 기업들이 위축됐던 때여서 업황전망이 다소 나빠졌지만 기업체감경기는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기업들은 내수부진(30.2%)을 가장 심각한 경영애로사항으로 꼽았고 불확실한 경제상황(22.5%), 수출부진(9.3%), 원자재가격상승(7.5%)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

관련기사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