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화부 '칸영화제 졸속출장' 빈축

공무원 2명 폐막 맞춰 방문에 "세금만 낭비"

해외 영화제에 형식적으로 참석해오는 문화체육관광부 공무원들의 관행에 대해 영화계 안팎의 시선이 곱지 못하다. 문화부는 최근 제61회 칸 영화제에 소속 공무원 2명을 칸에 보냈지만 ‘한국영화종합홍보관’이 문을 닫은 이후인 22일 현지에 도착하도록 일정을 짜는 등 졸속 출장의 면면이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다. 문화부는 영화제 참석 이유를 ‘국내외 영화인으로부터 의견을 수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정작 영화제 참여 행태는 그 같은 취지에 어긋난다는 게 영화계의 지적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국민의 세금만 낭비하고 있다는 것. 문화부 소속 6급 공무원 2명은 지난 22일(현지시간)부터 28일까지 제61회 칸 영화제에 참석키 위해 프랑스 칸과 파리 등지를 방문한 뒤 귀국했다. 이들의 프랑스 방문 목적은 칸 영화제를 참석하고 파리에 있는 영상자료원 등을 답사하기 위한 것이라고 문화부 측은 설명했다. 하지만 칸 현지에서 영화제에 참석했던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문화부 공무원 2명은 영화제 막바지인 22일 밤 칸 현지에 도착했으며 이날은 영진위가 14일부터 운영해오던 ‘한국영화종합홍보관’이 철수하는 시점과도 일치한다. 게다가 국내외 영화인들이 참여했던 ‘한국영화의 밤’ 행사도 도착 3일 전인 19일 이미 끝난 상황이었다. 이 행사는 영진위 주최로 문화부 공무원 중에서 참석 인사는 한명도 없었던 것으로 문화부가 출장 목적으로 밝힌 취지와는 맞지 않는다. 영화계의 시선이 더 따가운 대목은 영화를 사고 파는 자리인 ‘칸 필름 마켓’이 문을 닫고 철수하는 22일에 문화부 공무원이 현장을 ‘순시하듯’ 폐막식 참석차 칸을 찾았다는 점. 게다가 6급 공무원 2명중 한명 만이 영상산업과 주무관으로 해당 업무를 담당하고 있을 뿐 나머지 한명은 전략소프트웨어과의 디지털 콘텐츠 기술담당관으로 영화제 업무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문화부는 “칸 영화제 한국영화의 밤과 필름 마켓 등에 참석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폐막식 참석 등을 위해 영화제 후반부에라도 현지를 방문하는 게 의미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