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품질경영대상] 품질경영관련 각종시상제도

◇한국품질대상(94년 제정)=품질경영상 수상업체로서 품질경영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최상의 품질과 우리 경영문화에 맞는 품질경영체제를 확립, 기업의 체질강화와 고객만족 및 사회적 책임수행에 앞장 선 우수기업에 주는 상이다. 주요 심사항목으로는 품질경영 추진전략, 경영진의 리더십 및 조직운영, 인적자원의 개발 및 육성, 정보관리 및 활용, 구매·외주·생산 및 품질보증, 고객관리 및 만족도 향상, 품질수준의 향상추이와 경영성과 등이다.◇품질경영상(75년 제정)=품질경영활동을 효율적으로 추진해 기업의 체질개선은 물론 품질향상 및 생산성 제고에 현저한 성과를 올린 우수기업에 주는 상. 주요 심사항목은 한국품질대상과 같고 제조·서비스업과 건설업의 심사항목에 다소 차이가 있다. ◇공장혁신상(89년 제정)=IE(INDUSTRIAL ENGINEERING)활동을 기업내에 효율적으로 도입, 추진해 회사의 체질개선과 생산성향상에 현저한 성과를 올린 우수기업에 주는 상. 주요 심사항목으로는 생산성 일반, 공장관리 평가, 공장자동화 평가, 부문별 관리체계 등이다. ◇가치혁신상(89년 제정)=VE(VALUE ENGINEERING)활동을 기업내에 효율적으로 도입, 추진해 기능향상 및 원가절감을 통한 상품의 가치향상으로 현저한 성과를 올린 우수기업에 주는 상. 주요 심사항목으로는 경영일반, 조직계획 및 교육연계, 실천사항, 실적평가 및 향후 대응책 등이다. ◇설비관리상(89년 제정)=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활동을 기업내에 효율적으로 도입, 추진해 회사의 체질개선과 생산성 향상 등에 현저한 성과를 올린 우수기업에 주는 상. 주요 심사항목으로는 방침 및 조직운영, 교육·훈련, 자주보전, 품질보전, 안전·보건 및 환경관리 등이다. ◇산업표준화상(81년 제정)=산업표준화의 확산을 촉진하고 KS표시품의 신뢰성을 제고해 광공업제품의 품질개선과 생산능률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산업표준화 추진이 우수한 기업에 주는 상. 주요 심사항목으로는 제품개발·설계 등의 표준화 실태와 수준, KS 등 품질인증 사후관리 실태 등이다. ◇소비자만족경영상(96년 제정)=사후봉사체제를 갖추고 소비자보호활동을 적극 추진한 업체에 주는 상. 주요심사항목은 소비자보호 추진체계 확립과 관리실태, 소비자 불만 처리체계와 성과, 소비자 만족을 위한 교육훈련, 제조물책임(PL) 및 대책 등이다. ◇제안상(95년 제정)=산업현장의 창의력과 개선의욕을 활성화시켜 품질향상, 원가절감, 능률향상 등에 현저한 성과를 올린 제안 우수자에게 주는 상. 주요 심사항목은 경영층 및 관리자의 관심과 참여도, 인센티브 운영 및 지원실태, 개인의 제안 제출건수 및 제안체택률 등이다. ◇품질명장(91년 제정)=산업현장의 근로자로서 장인정신이 투철하고 품질향상을 위해 분임조활동, 제안활동 등 품질경영활동에 헌신함으로써 현장 근로자들의 귀감이 되는 모범근로자를 대통령이 임명한다. 생산현장에서 10년 이상 근무하고 분임조활동 경력이 5년 이상인 현장 근로자 및 현장 지도사원이 대상이다. ◇우수분임조상(75년 제정)=품질분임조활동을 모범적으로 추진해 품질향상, 원가절감, 생산성 제고 등에 현저한 성과를 거둔 우수 분임조 중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에 참가한 분임조에게 대통령상을 수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